[주요 신문 사설](29일 조간)

▲ 경향신문 = 풍계리 실험장 보수하는 북, 7차 핵실험은 안 된다

시행 2년도 안 된 임대차 3법을 축소·폐지 한다는 인수위

집무실 이전·인사 등 정권이양 협력 원칙 확인한 문·윤 회동

▲ 국민일보 = '소쿠리 선거' 노정희 위원장 거취, 국회가 정리하라

정치권, 장애인들의 권리 보장 요구 외면해선 안 돼

文·尹 회동, 신구 갈등 해소 계기 됐으나 아쉬움도 컸다

▲ 서울신문 = 유류세 추가 인하+α, 머뭇거릴 일 아니다

새 정부 '일하는 총리'로 민생·경제 위기 극복해야

靑 회동으로 완화된 불협화음, 협치로 이어져야

▲ 세계일보 = 서민·기업 '오일쇼크'에 신음, 특단대책 서두르길

새 정부 총리 인선, 국민통합·경제 살리기 시금석 될 것

대선 후 19일 만의 文·尹 회동, '절반의 성공' 거뒀다

▲ 아시아투데이 = 한·미정책협의, 한·미관계 질적 강화 이끌기를

경제장관들, '김재익'씨 같은 분 찾았으면

▲ 조선일보 = 38개월 뭉갠 '산업부 블랙리스트' 수사, 文 검찰의 범죄행위

대통령 부인 옷값에 든 세금이 어떻게 국가 기밀이 될 수 있나

文·尹 회동, 국민 불안 덜었다

▲ 중앙일보 = '산업부 블랙리스트' 철저한 수사로 진실 밝혀야

50조 추경, 어느 정부서 하든 재정 여건상 무리다

▲ 한겨레 = 흉금 터놓고 대화한 문·윤 '국민 통합' 위한 노력 다하길

'부정'이 더 많은 국정 수행 전망, 윤 당선자 깊이 새겨야

'정치의 소명' 일깨워준 김예지 의원의 '무릎 사과'

▲ 한국일보 = "집무실 이전 협조" 文·尹 회동, 협치 디딤돌 돼야

새 정부 초대 총리, 국민통합에 맞는 인물 발탁을

핵실험 만지작대는 김정은에 강력한 경고 보내야

▲ 디지털타임스 = HDC현산 부실 책임 엄중히 묻되 퇴출만이 능사 아니다

핵실험 움직임 北…제재·안보 강화로 대가 치르게 해야

▲ 매일경제 = 재계 "기울어진 노사 균형 맞춰달라" 새 정부 핵심과제 삼길

허울뿐인 600여 개 정부 위원회 확 줄여야 한다

문재인-윤석열 만찬 약속대로 더 이상은 마찰 없기를

▲ 브릿지경제 = 여야, 추경이 선거용 아니었음을 보여줘야

▲ 서울경제 = 원자재 대란…해외 자원 개발 적극 나설 때다

강한 국방력이 안보와 평화를 지킨다

"인플레 이기는 정부 없다"…신구 정권 비상플랜 가동해야

▲ 이데일리 = 경제단체의 인수위 정책 건의, 경제 회생 '답' 담겨 있다

유가 폭탄에 경제 골병, 땜질 아닌 고강도 처방 내놔야

▲ 전자신문 = 낡은 법·제도 SW산업 '족쇄'

규제 공화국' 오명 벗자

▲ 한국경제 = 한국노총 만나는 인수위, '노동이사제' 같은 거래는 곤란

꼬일 대로 꼬인 부동산세제…보유세만 문제가 아니다

해답 없는 쌍용차…정치논리가 모든 것을 망쳤다

▲ e대한경제 = 2차 추경 50조원 논란, 자영업자·소상공인 어려움에 초점 맞춰야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건설업 경영환경만 악화시킬 뿐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얼마나 돌아올까…이번주 수련협의체 논의 주목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오는 7일 전공의 수련협의체 논의에 따라 하반기 모집 공고가 곧 이뤄질 예정인데, 1년 6개월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얼마나 수련 재개를 택할지 주목된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내기 전에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로, 대표적인 것이 미필 전공의들을 위한 입영 특례다. 의무사관후보생인 미필 전공의들은 사직하면 자동으로 군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