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회전근개 파열, 남녀 호르몬 결핍 때문?

  어깨의 회전근개(rotator cuff) 파열은 남녀의 호르몬 결핍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회전근개의 힘줄 또는 근육 중 하나 이상이 찢어지는 것으로 증상은 어깨 통증이다.

 미국 유타(Utah) 대학 의대 정형외과 전문의 피터 챌머스 박사 연구팀이 2008년에서 2017년 사이에 어깨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은 남녀 약 23만 명(평균연령 54세)의 의료보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여성은 에스트로겐 수치가 정상인 여성보다 회전근개 파열 위험이 4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한 남성은 회전근개 파열 발생률이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지 않은 남성보다 89% 높았다.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은 여성은 27%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부족했다.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지 않은 여성 중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경우는 20%였다.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은 남성은 7%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부족,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지 않은 남성의 4%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에스트로겐 또는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면 골다공증이 발생하거나 뼈가 약해질 위험이 커진다.

   뼈가 약해지다 보면 뼈와 힘줄의 연결도 약해지면서 결국은 회전근개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재향군인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여성과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한 남성은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은 경우가 다른 사람들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뉴욕 헌팅턴 병원 정형외과 과장 랜디 콘 박사는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이 근육의 성장과 회복을 돕는 만큼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정형외과 학회(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학술지 "골·관절 외과학 저널'(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美·日처럼…"전담간호사 역할 정립해야"…복지부 "제도화 시행"
의료기관에서 특수분야 간호를 전담하는 간호사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간호사의 역량 개발을 위해 분야별 교육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0개 분야 전담간호사 교육을 실시하는 미국과, 19개 분야 인정간호사 교육제도를 운영하는 일본처럼 한국에서도 교육을 통해 전담간호사의 전문 역량을 본격적으로 개발하자는 것이다. 복지부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전담간호사 확대가 필요하다며, 다른 직역과의 논의를 통해 전담간호사를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대한간호협회(간협)은 18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간호사 역량 혁신방안'을 주제로 의료개혁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담간호사'란 지난 2월 시작된 전공의 집단 병원 이탈로 발생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부가 의사 업무 일부를 간호사에게 위임하면서 이들에게 붙인 가칭이다. 'PA 간호사'나 '진료지원인력'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이전에도 의료현장에서 수술장 보조 및 검사시술 보조, 검체 의뢰, 응급 상황 시 보조 등 의사의 의료행위 일부를 암암리에 대신해왔다. 전공의 사직으로 일손이 부족해지자 정부는 지난 2월 27일부터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몸 1차 방어기관 피부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의 1차 방어기관인 피부를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organoid)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환경질환연구센터 이정운 박사 연구팀이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3차원 피부 상피 모델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인체 장기 등에서 추출한 조직 샘플이나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증식해 만든 장기유사체로, 생체 내외의 특성을 모사할 수 있어 질병 메커니즘 연구, 신약개발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그동안 피부 상피 연구는 사람 표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를 2차원 배양한 세포주를 이용했지만, 세포 간 상호작용과 같이 세포 본연의 생리 조건을 모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마우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피부 상피 오르가노이드를 만들어 피부재생 효과를 확인했다. 개발한 오르가노이드는 다량의 세포 외 소포체를 분비해 상피세포 배양 복합체보다 우수한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질환 모델로서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나아가 첨단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정운 박사는 "생체 외 피부 모델을 통해 질병, 노화 등 피부재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물질 평가뿐만 아니라 치료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