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검수완박' 합의 지키고, 문제점은 입법 과정에서 보완해야

대통령 집무실 이어 또다시 졸속으로 결정된 관저 이전

막 오른 새 정부 인사청문회, 국민 눈높이에서 철저 검증을

▲ 국민일보 = "검수완박은 부패완판"이라던 윤 당선인 왜 방관하는가

총리 후보자는 자료 제출하고, 국회는 청문회 파행 않아야

한·일 정책협의단 방일이 양국 정상화 계기 되길

▲ 서울신문 = 검수완박 졸속 추진과 합의 번복, 이게 정치인가

한일 관계 정상화, MB 정부 전철 밟지 말아야

윤석열 1기 내각 인사청문회, 첫날부터 파행인가

▲ 세계일보 = 국민 신뢰 못 얻은 검수완박 합의, 졸속 추진 안 된다

인사청문회 격랑 예고…공정·상식 확인하는 자리 돼야

尹 친서 들고 방일한 대표단, 한·일 관계 개선 시금석 되길

▲ 아시아투데이 = '검수완박', 이제라도 충분한 공론화 거쳐야

北 도발, 분명히 대응하되 대화의 문 열어놓길

▲ 조선일보 = 정치권 범죄만 뺀 신·구 권력의 야합

검·경·공수처 이어 중수청, 한 나라에 수사기관이 몇 개인가

환율 급등에 '셀 코리아', 한미 통화 스와프부터 서둘러야

▲ 중앙일보 = "정치적 야합" 검수완박…여야, 원점 재검토해야

민주·정의당의 총리 후보자 청문회 불참, 부적절하다

▲ 한겨레 = 청문회 자료 부실 제출 한덕수, 검증 피하려는 건가

발표 미뤄둔 부동산정책, '집값 안정'이 핵심 목표여야

2급으로 낮아진 코로나19, 현장 안착까진 갈 길 멀다

▲ 한국일보 = 이준석 "검수완박 재논의", 합의 파기는 안 된다

인사청문 자료제출 기싸움…의혹 철저히 검증하길

訪日 대표단, 경색 해소하되 성과 집착 말아야

▲ 디지털타임스 = '검수완박' 합의에 제기되는 의문들, 국민의힘은 해명해야

인구 주는데 공무원 급증한 文정권…尹정부, 구조조정하라

▲ 매일경제 = 눈앞에 닥친 '플라스틱 팬데믹' 지금 행동해야 한다

여야 졸속합의한 '검수완박' 중재안 尹당선인 입장 분명히 밝혀야

5년간 방치한 최악 한일관계, 정책협의단이 물꼬 터보라

▲ 서울경제 = "국회의원 특권 박탈하라"…與野 야합에 국민 분노 확산

이자 놀이에 빠진 은행들, 부실 후폭풍 감내할 수 있나

"경제의 정치화 경계하라"는 靑, 정책 실패부터 사죄하라

▲ 이데일리 = 19년만의 한국·대만 GDP역전, 정책이 명암 갈랐다

사상최대 '실적잔치' 금융지주, 고객보호 최선 다했나

▲ 전자신문 = 수입 물가 '약한 고리' 끊자

'답정너'식 인사청문회 지양해야

▲ 한국경제 = '검수완박' 야합 비판 봇물…지금이라도 원점 재검토해야

美 '빅스텝 후폭풍' 우려에도 경제수장은 MSCI 타령

한·일관계 개선, 여론에 휘둘리지 말고 담대하게 나서라

▲ e대한경제 = 막오른 청문회, 철저히 검증하되 국정 능력·자질도 따져야

자잿값·금리 급등, 이중 악재에 비상 걸린 건설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