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검수완박' 합의 지키고, 문제점은 입법 과정에서 보완해야

대통령 집무실 이어 또다시 졸속으로 결정된 관저 이전

막 오른 새 정부 인사청문회, 국민 눈높이에서 철저 검증을

▲ 국민일보 = "검수완박은 부패완판"이라던 윤 당선인 왜 방관하는가

총리 후보자는 자료 제출하고, 국회는 청문회 파행 않아야

한·일 정책협의단 방일이 양국 정상화 계기 되길

▲ 서울신문 = 검수완박 졸속 추진과 합의 번복, 이게 정치인가

한일 관계 정상화, MB 정부 전철 밟지 말아야

윤석열 1기 내각 인사청문회, 첫날부터 파행인가

▲ 세계일보 = 국민 신뢰 못 얻은 검수완박 합의, 졸속 추진 안 된다

인사청문회 격랑 예고…공정·상식 확인하는 자리 돼야

尹 친서 들고 방일한 대표단, 한·일 관계 개선 시금석 되길

▲ 아시아투데이 = '검수완박', 이제라도 충분한 공론화 거쳐야

北 도발, 분명히 대응하되 대화의 문 열어놓길

▲ 조선일보 = 정치권 범죄만 뺀 신·구 권력의 야합

검·경·공수처 이어 중수청, 한 나라에 수사기관이 몇 개인가

환율 급등에 '셀 코리아', 한미 통화 스와프부터 서둘러야

▲ 중앙일보 = "정치적 야합" 검수완박…여야, 원점 재검토해야

민주·정의당의 총리 후보자 청문회 불참, 부적절하다

▲ 한겨레 = 청문회 자료 부실 제출 한덕수, 검증 피하려는 건가

발표 미뤄둔 부동산정책, '집값 안정'이 핵심 목표여야

2급으로 낮아진 코로나19, 현장 안착까진 갈 길 멀다

▲ 한국일보 = 이준석 "검수완박 재논의", 합의 파기는 안 된다

인사청문 자료제출 기싸움…의혹 철저히 검증하길

訪日 대표단, 경색 해소하되 성과 집착 말아야

▲ 디지털타임스 = '검수완박' 합의에 제기되는 의문들, 국민의힘은 해명해야

인구 주는데 공무원 급증한 文정권…尹정부, 구조조정하라

▲ 매일경제 = 눈앞에 닥친 '플라스틱 팬데믹' 지금 행동해야 한다

여야 졸속합의한 '검수완박' 중재안 尹당선인 입장 분명히 밝혀야

5년간 방치한 최악 한일관계, 정책협의단이 물꼬 터보라

▲ 서울경제 = "국회의원 특권 박탈하라"…與野 야합에 국민 분노 확산

이자 놀이에 빠진 은행들, 부실 후폭풍 감내할 수 있나

"경제의 정치화 경계하라"는 靑, 정책 실패부터 사죄하라

▲ 이데일리 = 19년만의 한국·대만 GDP역전, 정책이 명암 갈랐다

사상최대 '실적잔치' 금융지주, 고객보호 최선 다했나

▲ 전자신문 = 수입 물가 '약한 고리' 끊자

'답정너'식 인사청문회 지양해야

▲ 한국경제 = '검수완박' 야합 비판 봇물…지금이라도 원점 재검토해야

美 '빅스텝 후폭풍' 우려에도 경제수장은 MSCI 타령

한·일관계 개선, 여론에 휘둘리지 말고 담대하게 나서라

▲ e대한경제 = 막오른 청문회, 철저히 검증하되 국정 능력·자질도 따져야

자잿값·금리 급등, 이중 악재에 비상 걸린 건설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