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민주당 '우상호 비대위', 성찰과 혁신의 길 열어가길

"안전운임 폐지 철회" 화물연대 파업, 정부는 중재 나서야

금감원장까지 검사로 채우며 "적재적소"라는 윤 대통령

▲ 국민일보 = 민형배 "복당하겠다"…민주주의 조롱 아닌가

윤 대통령, 검찰 편중 인사 해놓고 "적재적소"라니

발달장애인 은혜씨 이야기, 우리가 곱씹어야 할 이유

▲ 서울신문 = 고물가에 한 끼가 두려운 사람들, 정부는 더 살펴라

인사정보단, '권한집중' 우려 성과로 떨쳐 내야

책임론에 아직도 "경청 중"이라고 회피한 이재명

▲ 세계일보 = 면허취소 수준 '음주운전' 박순애 검증 청문회 언제 할 건가

전기료 폭등' 정부 보고서 뭉개고 탈원전 밀어붙였다니

경제태풍 몰아치는데 여당이 당권 다툼이나 해서야

▲ 아시아투데이 = 한전 적자, 언제까지 이대로 끌고 갈 것인가

한은, 컨틴전시 플랜 아래 '빅 스텝' 고심할 때

▲ 조선일보 = 대기업 임금 13% 인상, 임금發 인플레이션도 경고등

땅 짚고 헤엄치기 이자 폭리로 임직원 돈 잔치 한 은행들

전기료 폭등' 보고받고도 "절대 인상 없다"며 강행한 탈원전

▲ 중앙일보 = 경제 어려운데 화물연대 총파업, 납득 안 돼

금융감독원장까지 검사 출신 … 적재적소 맞나

▲ 한겨레 = '만취운전' 교육장관 '관사테크' 복지장관, 검증은 했나

화물연대 파업 돌입, '안전운임' 놓고 머리 맞대야

금감원장도 '윤석열 사단', 검찰이 이 나라 통치집단인가

▲ 한국일보 = 이예람 특검, 부실수사·은폐 의혹 철저히 규명해야

법무부 인사관리단 출범, 검증 대상부터 명확히

계파갈등 커지는데 선거 참패 사과 없는 이재명

▲ 디지털타임스 = 민생 최악인데 권력투쟁 여야…아직도 국민 무서운 줄 모르나

핵실험 징후 北, 이런 때일수록 한미공조 한치 빈틈 없어야

▲ 매일경제 = 소음피해 배상 결정, 친환경으로 포장된 풍력발전 다시 보자

첨단산업 인력대란인데 수도권대학 정원규제는 40년전 그대로

물가 뛰는데 근소세 과세표준 15년째 제자리, 근로자가 봉인가

▲ 브릿지경제 = 민생 외면하고 노동계 파업에 입다문 여야

▲ 서울경제 = 파격적 신수종 사업 지원해 선순환 경제구조 만들라

"탈원전 하면 전기료 폭등" 묵살, 이런 국정농단 재발 막아야

가계·기업 부채 '시한폭탄'인데 이자 놀이에 빠진 은행

▲ 이데일리 = 법인세율 인하, 민간주도 성장 성공 위해 미룰 수 없다

줄줄 새는 백내장 보험, 문제투성이 이대로 둘 건가

▲ 전자신문 = 삼성 패널 없는 삼성 TV

반도체 인재 양성 주문한 대통령

▲ 한국경제 = 막무가내식 힘자랑으로 총파업 강행한 화물연대

4선 오세훈 시장, '메갈로폴리스 서울'에 올인하라

임금發 인플레 악순환, 모두가 패자 되는 길 피해야

▲ e대한경제 = 책임 막강한 인사정보관리단, 검증 결과 끝까지 책임져야

세계 최악 실적기업 한전, 에너지믹스 조기 재수립만이 살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