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증시·환율 등 몰아닥친 복합위기, 총력 대응 필요하다

국회 청문회 패싱한 초유의 국세청장 임명

논란 거듭되는 김건희 여사 활동, 공적 지위 맞게 정리돼야

▲ 국민일보 = 극적 타결된 화물연대 파업…공멸은 피했다

국세청장 인사청문회도 못한 국회의 직무유기

기초학력 미달 학생 최대…해결에 국가 역량 모아야

▲ 서울신문 = 생산 현장 체감할 때까지 규제혁신 지속하라

혼돈의 금융시장, '경제드림팀' 실력 보일 때다

국세청장 청문 없는 임명, 처음이자 마지막이어야

▲ 세계일보 = 국회 정상화는 뒷전, 예산편성권은 개입하겠다는 巨野

'北피살 공무원' 정보공개 검토, 늦었지만 당연한 일이다

커지는 코로나 학력 격차, 교육불평등 해소 대책 있나

▲ 아시아투데이 = 외환위기 때 같은 위기의식 없는 게 문제

규제 개혁, 속도 내고 성과 거두길

▲ 조선일보 = 경제위기 태풍 닥쳐왔는데 국회는 휴업, 여야는 내부 싸움 중

민주당 내부서 매일 쏟아지는 저급한 언어들

대통령 부인도 팬클럽, 국정에 어떤 도움이 되나

▲ 중앙일보 = 가계빚 연착륙 유도하고 규제개혁 나서야

여야, 국회 닫아 놓고 '팬덤 정치'라니

▲ 한겨레 = '자이언트 스텝' 앞 금융시장 패닉, 가계부채 관리 총력을

화물연대 협상 타결, 안전운임 완전제도화 이어져야

국회 공백에 국세청장 '무청문 임명', 여야 직무유기다

▲ 한국일보 = '용산 대통령실' 명칭 결정…국민 소통 질적 변화를

청문회 없이 국세청장 임명…박순애·김승희는 재고해야

검찰총장 비워둔 채로 또 인사할 건가

▲ 디지털타임스 = 尹, 고통분담으로 복합위기 극복하자고 국민에 호소하라

정부 '안전운임 일몰연장'…포퓰리즘 노동정책 답습하나

▲ 매일경제 = 대통령이 이끄는 규제혁신, 야당도 초당적으로 협조하라

50년전 학생급증때 만든 교부금 아직 못고친 무능 국회와 정부

4차혁명시대 농업의 새로운 미래 보여준 푸드테크 포럼

▲ 서울경제 = '대혼돈' 경제 위기인데 '수박' '민들레' 늪에 빠진 정치권

"규제 개혁이 국가 성장"…가능하려면 밤새울 각오로 임해야

제왕적 대통령 반면교사 삼아 '듣는 리더십'으로 소통하라

▲ 이데일리 = 미룰 수 없는 '기후위기' 대응, 해법 찾기에 힘 모을 때다

선진국이 정상화 길 달려도 반대로 간 한국 재정정책

▲ 전자신문 = K-콘텐츠 전성시대 서막

'누리호' 우주항공산업 발전 기회로

▲ 한국경제 = 한은, 금리 빅스텝 밟기 전에 가계부채 위험 살펴야

유동성 파티의 끝자락…산이 높으면 골도 깊다

대법원 가서야 정리해고 인정받는 기업들의 '사법적 고단함'

▲ e대한경제 = 집단운송 거부로 주택 건설 차질 피해 어떻게 책임질건가

전방위 금융 쇼크…물가안정 위한 특단의 공급대책 내놓기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