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전장연 시위 "지구 끝까지 찾아가" 엄단하겠다는 서울청장

발빠르게 올리는 대출금리, 은행은 산정기준 공개해야

복합위기' 외치면서 언제까지 과거사 다툼만 할 건가

▲ 국민일보 = 검찰총장 공백 속에 진행되는 검찰 인사 이래도 되나

낯 뜨거운 국민의힘 지도부 불협화음 볼썽사납다

은행들 이자놀이 자제하고 포용 금융으로 고통 분담해야

▲ 서울신문 = '서해 공무원 피격' 색깔공방 접고 진실 규명해야

곧 출범할 '강제동원' 기구에 징용 해법 기대한다

정부는 서민경제 살리기를 최우선 과제 삼아라

▲ 세계일보 = 최저임금 심의, 경제위기 고려한 합리적 결론 도출을

빚 늘어도 성과급 잔치라니…공기업 방만경영 불치병인가

민생 경제 악화일로인데 후반기 원 구성 손 놓은 국회

▲ 아시아투데이 = 의원 모임, 파벌 형성 아닌 정당 혁신 도모해야

초당적 특위 구성해 '반도체 재도약' 지원하길

▲ 조선일보 = 선거 직전 1인당 5만원씩 뿌리고 당선된 서울 금천·관악구청장

공기업 평가 '정권 코드'에서 '경영 성과'로, 개혁 출발점 돼야

서해 공무원 아들의 울부짖음에 文 정권 누구라도 답해야 한다

▲ 중앙일보 = 보수·진보 교육감들의 한심한 '교부금 밥그릇 지키기'

경제고통지수 최악인데 국회는 뭐하고 있나

▲ 한겨레 = 여권 '서해 공무원 사건' 선넘은 공세, 진실은 멀어진다

또 총장 없는 검찰 인사, 검찰총장은 허수아비 만드나

경제고통지수 21년만의 최고, '민생국회' 빨리 가동을

▲ 한국일보 = 최강욱 성희롱 발언에 중징계 내린 민주당

'월북 단정' 의혹, 국회가 군 정보 열람해 규명을

국회 3주째 문 닫은 채 정쟁만…여야 끝장협상하라

▲ 디지털타임스 = 민주, '서해 공무원 피살' 진상규명 위해 정보공개 응해야

대통령은 국민 숨넘어간다는데 국회 문닫고 '권력놀음' 여야

▲ 매일경제 = 백내장 수술 과잉보험금 청구, 선량한 가입자 주머니 턴 행위다

수학·과학 올림피아드 금메달, 대입 자기소개서에도 못 쓴다니

벌써 폭염경보, 전기료 싸다고 전력 펑펑 쓰면 큰일

▲ 브릿지경제 = 서민들 숨 넘어가는 소리 안 들리나

▲ 서울경제 = 소주성 설계자' 최저임금 억지 부리려면 자리 내놔야

나쁜 엔저' 發 금융위기 막을 재정·통화 안전판 서둘러라

"국민 숨 넘어가는 상황"에 권력 다툼만 하는 정치권

▲ 이데일리 = 일석이조 쌀 가공산업 활성화, 머뭇거릴 이유 없다

경제 난국 속 최저임금 심의, 위기에 발목 잡기 없어야

▲ 전자신문 = 누리호, 실패해도 낙담 말자

금감원, 소통부처로 거듭나길

▲ 한국경제 = 巨野, 오기 부리지 말고 여당에 법사위원장 넘겨줘야

공기업 평가로 드러난 방만·부실 경영…더 이상 개혁 늦출 수 없다

기업 실적에도 경고등…투자·고용·소비 트리플 위기 온다

▲ e대한경제 = "국민 숨넘어간다"며 초당적 물가대책 주문한 尹 대통령

'개점휴업 국회'에 민생법안 낮잠, 의원 세비도 無勞無賃 적용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