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7일 조간)

▲ 경향신문 = 성평등·인권 후퇴시킨 미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폐지 판결

민생 외면에 내부 갈등, 원구성 몽니까지, 이게 집권여당인가

최저임금은 묶고 내부거래 규제는 풀라는 재계, 지나치다

▲ 국민일보 = 尹, 나토 정상회의 참석… 국가 위상 재정립 기대한다

서해 공무원 피살 진상규명 위해 국방위 문서 공개하길

여야 절충점 찾아 국회 원구성 매듭지어라

▲ 서울신문 = 與 언제까지 민생은 뒷전, '집안싸움'만 할 건가

나토 정상회의서 한일 정상회담 무산, 유감이다

복합위기 나 몰라라 상생 잊은 대기업 노조

▲ 세계일보 = 나토 다자무대 데뷔하는 尹, 실용적 국익 외교 펴야

대통령 도어스테핑 혼란, 신중하고 절제된 발언 하길

민주 법사위원장 '조건부 양보', 여야 한 발씩 더 물러나라

▲ 아시아투데이 = 대통령실, 정부 내 소통 혼선 해결 책임지라

국회 재개의 다른 걸림돌, 사개특위·검수완박

▲ 조선일보 = 대통령 기록물 제도, 정권 過誤 은폐 수단 될 수 없게 손봐야

사후 2년 만에 제대로 모신 '6·25 영웅' 백선엽 장군

야당 출신에 맡긴 반도체 위원장, 이념·진영 떠나 반도체 사활 걸라

▲ 중앙일보 = 문 전 대통령, 서해 공무원 피살 '의문의 6시간' 행적 밝혀야

'주 52시간' 혼선 부른 윤 대통령의 화법

▲ 한겨레 = '법사위원장 양보'도 외면, 국민의힘 여당 책임 다해야

미국 '임신중지권' 판례 폐기, 우리는 3년째 입법 공백

장시간 무급노동 현실 외면한 '노동시간 유연화' 추진

▲ 한국일보 = 한일 정상회담 무산…日 관계 개선 의지 있나

변동금리 비중 최고, 취약층 부담 완화 절실

퇴행적 美 낙태 판결…한국 입법 공백 해소를

▲ 디지털타임스 = 물가폭탄에 무너지는 서민…국회, 민생입법 더는 방치말라

나토 회의 참석 尹, 자유세계연대 확고히 하는 계기 돼야

▲ 매일경제 = 양향자 반도체특위, 글로벌 기술전쟁엔 여야가 없어야 한다

"통신선 끊겨 구조요청 못했다"는 발표 거짓논란, 文 해명해야

대통령 이웃 아우성…확성기 소음기준 선진국 수준에 맞추라

▲ 서울경제 = 노동·연금·교육 개혁하려면 '정책 혼선' 발언 더 없어야

생산성 추월해 임금 인상하면 G5와 경쟁할 수 있나

평화는 굴복 아닌 강력한 힘으로 지키는 것이다

▲ 이데일리 = 대통령과 부처간 잇단 엇박자, 기강도 조율도 문제다

시행 직전의 건보료 추가 손질, 재정 건전성 고민해야

▲ 전자신문 = '디지털 복지' 부가통신사 동참해야

게임산업, 성장엔진 찾아라

▲ 한국경제 = 이례적인 '역(逆)환율 전쟁' 외자유출 최대한 막아야 한다

인사·정책 잇단 엇박자…새 정부 벌써 긴장감 떨어졌나

6조 적자에도 성과급 1586억원…공기업 개혁 시급한 이유다

▲ e대한경제 =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 엇박자 논란 차단 나선 대통령실

한 달 넘도록 원구성도 못한 국회, 국민들은 이제 지쳤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