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새 경찰청장 내정, 경찰 독립성 수호 의지 철저히 검증해야

외환위기 이래 최고 물가, 비상하고 정교한 대책 필요하다

인사 비판에 "전 정권서 그렇게 훌륭한 사람 봤냐"는 대통령

▲ 국민일보 =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 정치적 중립은 끝까지 지켜내야

과거 정권 비판한다고 현 정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24년 만의 6% 물가에 서민 고통…정부 대책은 뭔가

▲ 서울신문 = TBS, 정치편향 방송 없어야 재정지원 명분 있다

원전 회귀하려면 방폐장 추가 확보 동반돼야

더이상 인사 실패 없도록 검증 시스템 검증하라

▲ 세계일보 = 한국인 첫 필즈상 수상 '쾌거', 노벨 과학상 마중물 되길

논란만 일면 '前 정부'와 비교하는 尹 언행 볼썽사납다

24년 만의 6% 물가 상승, 고통 분담으로 위기 헤쳐 나가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싱크탱크의 선거 패인 분석 명심해야

정부, 고통분담 호소하면서 통화긴축 하길

▲ 조선일보 = 탈원전' 공식 폐기한 새 정부가 지금 해야 할 일

24년 만의 6%대 물가, 인플레 기대심리 악순환부터 차단해야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수포자 늘리는 암기 교육 정비 계기로

▲ 중앙일보 = 실망스러운 윤 대통령의 인사 비판 대응

코로나 다시 증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 한겨레 = '인사 실패' 지적에 '전 정권 타령' 또 들고나온 윤 대통령

이상민 장관, 경찰 통제 넘어 수사 지휘까지 하겠다는 건가

물가 6% 치솟는데 '유류세 인하'뿐인 민생대책

▲ 한국일보 = 원전 확대 불가피하나 재생에너지 위축 없도록

혁신과 멀어지는 민주당 당권 '샅바싸움'

IMF 이후 물가 최고치…서민 고통 세심하게 살펴야

▲ e대한경제 = 24년 만의 6%대 물가상승률, 모두 힘모아 극복하는 게 급선무

국회, 사개특위·개헌에 힘 빼지 말고 민생부터 챙겨야

▲ 디지털타임스 =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학문 선진국' 위상 확인한 쾌거다

급기야 '6% 물가', 정책수단 총동원해 후폭풍 최소화해야

▲ 매일경제 = 한국 실제 순채무 300조, 재정준칙 입법 미룰 수 없다

"前정권 장관 중 훌륭한 사람 봤느냐"며 부실인사 합리화한 대통령

물가는 24년 만에 6% 찍고 국민고통지수는 7년 만에 최고

▲ 브릿지경제 = 소비자물가 7∼8% 상승에 미리 대비를

▲ 서울경제 = 前정권 비교' 화법 접고 위기 극복 위한 '설득 리더십' 보여라

물가 급등 속 보유외환 급감, 더이상 '환란' 무풍지대 아니다

우물쭈물 '노동개혁'으론 G5강국으로 나아갈 수 없다

▲ 이데일리 = 코인·주식 빚도 탕감해 준다는 법원, 먹튀 대책 있나

24년만의 6%대 물가상승, 한국경제 총체적 위기다

▲ 전자신문 = 코로나 재유행, 다시 긴장할 때

高물가, 취약계층 붕괴 막아야

▲ 파이낸셜뉴스 = 지각 국회, 정치 공방 접고 민생부터 챙겨라

쪼그라든 외환보유액, 도사린 위기의 징후들

▲ 한국경제 = 뚜렷해진 코로나 재유행 조짐…경각심 회복이 필요하다

김진표 국회의장, 법사위원장부터 순리대로 풀어야

뼈 깎는 인플레 전쟁…정부, 공무원 임금 동결로 앞장서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