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유례없는 고물가에 초유의 빅스텝 대응, 기대 인플레 잡아야

탈북민 대응 인도적 원칙 세우되 정치적 접근 안 된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연 '우주의 심연'과 연구의 새 지평

▲ 국민일보 = 사상 첫 금리 빅스텝…후유증 최소화에 만전 기하라

"흉악범"이라며 강제 북송 정당화하려는 민주당

과학방역 한다더니 전 정권 기조와 달라진 게 없다

▲ 서울신문 = 처음 밟는 빅스텝, 서민도 경기도 두루 살펴라

엎친 데 덮치지 않도록 코로나 확산 막아야

탈북 어민 '강제북송' 의혹, 실체적 진실 밝히길

▲ 세계일보 = 한은 사상 첫 빅스텝 단행, 충격 최소화에 만전 기하길

사진으로 드러난 강제 북송 만행, 이젠 文이 답해야

"화이트 해커 10만 양성" 사이버 안보 강국, 우리가 살 길이다

▲ 아시아투데이 = 자유·인권 위반한 강제북송, 반드시 규명해야

인력 감축으로 '작고 유능한 정부' 실천하길

▲ 조선일보 = 사상 첫 0.5%p 금리 인상,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

거듭되는 대통령실 인선 논란, 문제 터지기 전에 재검증을

5년간 공무원 수 동결키로, 비대해진 공공 기관도 수술해야

▲ 중앙일보 = 초유의 '빅스텝'…은행은 지나친 이자 장사 멈춰야

정부는 백신 신뢰 회복, 국민은 자율 방역을

▲ 한겨레 = 16명 살해 혐의 탈북어민 북송, '종북몰이' 말아야

한은 초유의 '빅스텝', 가계부채 연착륙 시급하다

알맹이도 없고 위기감도 안 보이는 '윤석열표 과학방역'

▲ 한국일보 = 사상 첫 0.5%P 금리 인상, 충격 최소화해야

3년 만에 '탈북어민 북송' 입장 바꾼 통일부

백신 4차 접종 유인책 빠진 새 방역대책

▲ 디지털타임스 = 사상 첫 '빅스텝' 단행…부채 충격 완화책도 서둘러라

접종 확대로 재확산 잡겠다는 정부, 안이한 발상 아닌가

▲ 매일경제 = 한국은행 첫 빅스텝, 현실이 된 고금리 시대

코로나 재감염자 급증 누구도 방심해선 안된다

文정부 공무원 증원, 결국 그 유탄은 공시생에게 돌아갈 판

▲ 서울경제 = 빅스텝 풍랑, 3중 방파제 늦추면 글로벌 긴축 희생양 된다

발버둥치는 귀순 어민 '사지'로 내몬 책임자 처벌해야

반도체·배터리 투자 전쟁, 잠시 멈추면 도태된다

▲ 이데일리 = 한은 사상 첫 빅스텝, 경기보다 물가안정이 먼저다

당리당략에 발목잡힌 원 구성, 이런 국회 뭣하러 있나

▲ 전자신문 = '빅스텝' 후속 서민정책 서둘러야

첨단 ICT로 날개 단 'K-콘텐츠'

▲ 한국경제 = '빅스텝' 빗장 푼 한은…가계부채·실물경제 오버킬은 경계해야

본격화하는 코로나 재유행, 더 이상의 뒷북·정치방역 안 된다

해외시장 주름잡는 K컬처…대한민국 새로운 성장동력이다

▲ e대한경제 = 한은 사상 초유 물가잡기 '빅스텝', 경기침체 등 부작용 대비해야

공무원·공공기관 인력감축은 정부 개혁의 출발점

▲ 파이낸셜뉴스 = 빅스텝 단행, 가계·기업 부실 차단책 다 꺼내야

탈북어민 강제북송 입증한 현장 사진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