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7일 조간)

▲ 경향신문 = 국무회의 통과한 '행안부 경찰국', 역사를 31년 후퇴시켰다

반성도 없이 검찰개혁 원점으로 되돌리겠다는 법무부

기준 중위소득, 취약계층 부축하려면 원칙대로 인상해야

▲ 국민일보 = 보복 소비가 이끈 2분기 성장…경착륙 대비 철저히 하라

수사 독립성 보장하는 경찰국 운영 원칙 확립해야

끊임없이 드러나는 LH 직원 부동산 투기 의혹

▲ 서울신문 = 재정 이유로 '중위소득' 억제, 취약층 어떻게 하나

'공공기관장 임기 일치법' 앞서 지금 '불일치' 해소를

한미 배터리 합작에 3조원 대출 美 결단 배워야

▲ 세계일보 = 2분기 0.7% 성장…하반기 하방 위험 대처 서두르길

경찰은 추가 집단행동 멈추고 정부는 수습 역량 보여줘야

신규 확진 10만명 육박, '휴가철 폭증' 대책 안 보인다

▲ 아시아투데이 = 경찰, 14만 명 집회 취소하고 본분에 충실해야

국정철학·정책 설득하는 '스타 장관' 보고 싶다

▲ 조선일보 = 워싱턴에 영원히 남을 한미 젊은이들의 숭고한 희생

사장도 본부장들도 다 사라진 금요일, LH 한 곳뿐이겠나

이제 경찰까지 노조처럼 집단 시위 벌이는 나라 됐나

▲ 중앙일보 = 3조원대 수상한 외환거래 철저히 밝혀야

여성가족부 폐지보다 고유 역할 재정비하길

▲ 한겨레 = "국기문란" "반미투쟁" 들먹이며 경찰국 강행한 오기 정권

미얀마 군부의 민주운동가들 처형, 강력히 규탄한다

부의 편법증여 조장 '일감몰아주기 감세' 철회해야

▲ 한국일보 = 경찰국 신설안 통과…출구 없는 강대강 대치

민간소비로 2분기 '반짝 성장', 하반기가 걱정이다

직원들은 땅투기, 간부들은 출장골프…나사 풀린 LH

▲ 디지털타임스 = 경찰국 설치 국무회의 의결…문민통제 반발 더는 용인 안 돼

인구 줄었는데 공무원 늘린 지자체들, 지방교부금 줄이라

▲ 매일경제 = 현대제철 사장실 87일 무단점거는 방치해도 괜찮은가

10년만에 다시 시동건 용산개발, 세계적 랜드마크 기대한다

모두가 알면서도 해결 못하는 OECD 1위 한국 자살률

▲ 브릿지경제 = 다시 성장의 '질(質)'을 생각할 때다

▲ 서울경제 = 투자 매력 떨어지는데 '모래주머니' 그대로 두면 답 없다

경찰국 시행령 통과…치안 책임자 집단 행동 멈춰라

文정부 낙하산 인사, 염치 있다면 이젠 물러나야

▲ 이데일리 = 수출에 발목잡힌 2분기 성장 0.7%, 타개책 시급하다

'묻지마 예타면제' 손보는 윤 정부, 선심 유혹 경계해야

▲ 전자신문 = 인력 대책, 고칠 건 고치자

확진자 10만에도 '셀프 방역'

▲ 한국경제 = 경찰까지 머리띠 매는 부박한 집단주의를 개탄한다

방송까지 가세한 '부자감세 프레임'…고액 납세자가 죄인인가

▲ e대한경제 = 소비로 버틴 2분기 성장률, 민생·경제 회복에 與野가 나서야

'민중의 지팡이' 내팽개치고 집단행동 나서는 경찰, 국민 납득 어렵다

▲ 파이낸셜뉴스 = 美는 파격 인센티브, 野는 법인세 인하 발목잡기

경찰이 불법 집단행동을 하면 누가 막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