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경찰국장 김순호 '프락치 특채' 의혹 확실히 규명해야

외고 폐지도 뒤집은 박순애, 윤 대통령 이대로 둘 건가

청탁설 줄 잇는 대통령실, 특별감찰관 조속히 임명해야

▲ 국민일보 = 檢 수사관이 기밀 유출…'쌍방울 사건' 진상 밝혀라

고물가 속 '경기 하방' 위험성 경고한 KDI

박진·왕이 외교 회담, 얽힌 한·중 관계 풀어낼 계기되길

▲ 서울신문 = 휴가 끝낸 尹, 국정동력 회복할 쇄신책 내놔야

한중 관계 새 방향 모색할 박진 외교장관 방중

불공정 특별채용, 처벌 강화하고 해당 노조 공개를

▲ 세계일보 = 휴가 마친 尹대통령, 24% 지지율 뜻 헤아려 국정 쇄신하라

'이재명 방탄용' 민주당 당헌 개정, 누가 납득하겠나

미·중 갈등 속 朴외무 訪中, 실사구시 외교로 대응해야

▲ 아시아투데이 = 이제는 대통령 흔들기 멈춰야

▲ 조선일보 = "국민 뜻 헤아린다"는 尹 정부, 뭐가 부족했는지부터 밝혀야

새로 열린 광화문광장, 시위 아닌 문화의 광장으로

박 장관으로는 막중한 교육 과제들 감당키 어렵다

▲ 중앙일보 = 추락하는 대통령 지지율, 쇄신과 소통만이 답

800억 든 새 광화문광장, '시민 공간' 취지 살려야

▲ 한겨레 = 업무 복귀 윤 대통령, 전면적 국정쇄신안부터 내놔야

'재계 민원'을 노동개혁과제로, 정부 뒷감당 자신 있나

'경찰 장악' 논란 경찰국 수장의 '수상한' 과거 행적

▲ 한국일보 = 외고 폐지도 오락가락…백년대계가 위태롭다

이재명 대세론 속 '방탄용' 당헌 개정 논란

경찰국장, 경찰특채 의혹 소상히 해명해야

▲ 디지털타임스 = 국무 복귀 尹대통령, 이젠 국민 불신 떨쳐낼 '한방' 보여줘야

추석물가 초비상…제수용품 유통단계 축소라도 강구하라

▲ 매일경제 = '포천500' 美中기업 덩치 경쟁, 한국은 대기업 옭아매기만 할 건가

연봉 1억인데 임금 올려달라며 총파업 예고한 금융노조 이기주의

이재명 방탄 위해 당헌 바꾸자는 강성지지층, 위인설법 아닌가

▲ 브릿지경제 = 귀족노조 고용세습 폐단 꼭 근절돼야

▲ 서울경제 = 거세지는 '차이나 공습'…기술 초격차·인재 양성이 답이다

자영업자 빚 최대 90% 탕감, '도덕적 해이' 우려 경청해야

공정 벗어난 귀족노조 고용 세습 뿌리 뽑아라

▲ 이데일리 = 꼬리무는 인사논란·정책 혼선, 대통령 결단에 답 있다

1억대 연봉 은행원 총파업, 민심이 얼마나 납득할까

▲ 전자신문 = 공정위원장 선임 늦출 수 없다

도심항공교통, 신성장동력 만들자

▲ 한국경제 = 휴가 복귀 尹대통령이 우선적으로 할 일

주력 산업까지 흔들…규제 완화·기업인 사면 서둘러야

연봉 1억 금융노조도 '임금 파업'…은행 이익 어떻게 생겼나

▲ e대한경제 = '250만가구+α' 주택공급 세부대책…분상제 더 보완해야

지지율 속락에 고민 커지는 여권, 전면 쇄신 통해 국정 동력 회복을

▲ 파이낸셜뉴스 = 도덕적해이 부추기는 취약층 부채 90% 감면

윤 대통령도 여당도 심기일전할 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