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윤 대통령 친위' 국민의힘 비대위, 이래서 쇄신 가능하겠나

당헌 80조 개정한다는 민주당, '위명설법' 비판 새겨야

윤 정부 첫 공급 대책, 서민·청년 위한 공공물량 부족했다

▲ 국민일보 = 글로벌 보건에 한국 역할 강조한 빌 게이츠

민주당의 당헌 80조 개정…이재명 私黨 만드나

주택 공급 확대 옳지만 재건축발 불안도 대비해야

▲ 서울신문 = 기어이 '방탄 당헌' 의결한 野, 후폭풍 각오해야

민간 주도 270만호 주택 공급, 실행이 관건이다

취임 100일 尹, 과감한 쇄신으로 난국 돌파하라

▲ 세계일보 = 박지원·서욱·서훈 압수수색, '월북몰이' 윗선 수사 속도 내야

위기의 尹 대통령 100일…비상한 각오로 전환점 마련하라

270만호 주택공급대책,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이 과제다

▲ 아시아투데이 = 대통령 직격하는 이준석, 정계 떠나야

▲ 조선일보 = 시너 들고 기업 난입한 민노총, 이곳에 직원 들여보낸 경찰

4년 만에 정상화되는 한미훈련, 다시는 협상카드 안 된다

尹 대통령의 지난 100일, 그리고 남은 1700일

▲ 중앙일보 = 재개장 열흘 만에 집회·시위 장소 전락한 광화문광장

270만 가구 공급, 말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 한겨레 = 민주 '당헌 80조 개정' 안팎 비판에 기어이 귀 닫을 텐가

규제완화 기댄 270만호 대책, 집값불안 우려된다

국민 신뢰 얻지 못한 윤 대통령 퇴행의 100일

▲ 한국일보 = 한동훈 법무, 검찰 중립 지켜낼 총장 제청해야

국민의힘 비대위 공식 출범, 살길은 당 쇄신

尹 정부 270만호 공급…부작용도 면밀히 따져봐야

▲ e대한경제 = 尹 정부 도심 주택공급 확대, 규제 완화하되 부작용도 최소화해야

여당 비대위 출범·지지율 반등, 국정동력 회복 전환점 되나

▲ 디지털타임스 = 민노총 '친북·반미'에 '시너위협'까지…선 한참 넘어섰다

尹정부, '8·16 공급대책' 진정성 있다면 야당 설득 진력해야

▲ 매일경제 = 코로나 확산 이 판국에 광화문광장 또 점령한 시위꾼들

최태원-빌 게이츠 소형원자로 의기투합, 원전 르네상스 이끌길

'270만호 주택공급' 재개발·재건축 실제 성과로 이어져야

▲ 브릿지경제 = 화물연대 잇단 불법 이대로 방치할건가

▲ 서울경제 = 정책 성공하려면 文정부 '통계 분식' 반복하지 말아야

'민간 주도 성장' 기치 내걸었으나 구조 개혁 로드맵이 없다

수요자 원하는 '질 좋은 주택' 공급 위해 규제 완화 속도 내라

▲ 이데일리 = 13년 만의 긴축 예산 편성, 추경 되풀이 악습도 끊어야

취임 100일 윤 정부 지지 회복, 대통령 결단에 달렸다

▲ 전자신문 = 공정위, 환골탈태 기대 크다

尹 정부, 규제 혁신에 승부 걸어라

▲ 파이낸셜뉴스 = 글로벌 첫 빅3 진입 현대차, 기술혁신이 살길

재건축 규제 완화, 역효과도 살피며 가야 한다

▲ 한국경제 = 대통령이 외치는 '자유'…여당·관료들, 이해 못하나 외면하나

시너 들고 사옥 점거해 손배소 철회하라는 화물연대

차질 없는 주택 공급, 세제 정상화도 필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