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하청구조 핑계대는 하이트진로, 책임있게 협상 임해야

새 검찰총장의 최우선 덕목, 검찰의 독립성 수호 의지다

성찰·쇄신 보이지 않아 공허했던 윤 대통령 100일 회견

▲ 국민일보 = 심상찮은 중국 경기 하강 조짐에 철저히 대비해야

서울시의 파격적 소각장 청사진, 님비 해소 계기 되기를

취임 100일 윤 대통령, 다짐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 서울신문 = 우리금융 취약계층 지원, 전 금융권으로 확산돼야

반미 구호에 고공 농성, 민주노총의 반민주 행태

'국민 숨소리 안 놓치겠다'는 다짐, 허언 안 돼야

▲ 세계일보 = 민노총이 시너 들고 기업 불법 점거해도 지켜만 볼 건가

꼼수로 '이재명 방탄' 길 터준 野 비대위, 사당화 시도 멈춰야

尹대통령 "국민 뜻이 우선순위"…실천으로 보여주길

▲ 아시아투데이 = 부지확보 방안 없이 발표된 주택 270만호 건설

차 업계의 새 복병, 美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尹대통령 취임 100일, 국가의 틀을 정상화시킨 여정

▲ 조선일보 = 거액 적자 한전 돈 쏟아붓는 한전공대, 교수 연봉이 2억이라니

野 이번에도 당헌 爲人改惡, 이런 당헌 왜 필요한가

국민 뜻 받들겠다는 다짐, 실천되는지 지켜볼 것

▲ 중앙일보 = 국정 혼선 반성과 인사 쇄신 없는 윤 대통령 100일 회견

민주당, 꼼수 방탄 개정 아닌가

▲ 한겨레 = 장모 잔고 위조 공범도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됐다니

또 노동자 고공농성 내몬 손배소, '점거' 이면 봐야

민심 경고 외면한 윤 대통령의 '불통' 회견

▲ 한국일보 = 여론에 밀려 무산된 민주당 당헌 80조 개정

북한, '담대한 구상'에 미사일로 찬물 끼얹나

국정 쇄신 청사진 안 보인 尹 100일 회견

▲ e대한경제 = 여야 밥그릇싸움에 1주택자 종부세 특례 '대혼란' 안 된다

취임 100일 맞아 국정 현황 솔직하게 언급한 尹 대통령

▲ 디지털타임스 = 韓 상속세율 OECD 1위, 세제 뜯어고쳐 백년가업 길 터주라

"더욱 분골쇄신하겠다"는 尹, 이젠 말 아닌 성과로 보여줘야

▲ 매일경제 = 물난리에 홍수위험지도 무용지물로 만든 한심한 환경부

시너통 들고 기업 점거한 화물연대, 이건 노동운동 아닌 테러

윤석열 정부 100일 경제정책, 방향은 옳다 실천이 과제다

▲ 브릿지경제 = 尹정부 100일…'소통'과 '정치력'부터 복원을

▲ 서울경제 = 시너로 협박하는 민노총, 더 이상 무법 방치 안된다

국민·역사 바라보면서 경제 도약·안보 위해 분골쇄신하라

▲ 이데일리 = 도 넘은 산업현장 불법 점거, 기업은 누가 지켜 주나

소득주도성장 강령에서 뺀 민주당, 깊은 반성 있어야

▲ 전자신문 = 尹 취임 100일, 다시 초심으로

K-팹리스'도 일류로 가자

▲ 파이낸셜뉴스 = 시너통 들고 사옥 점거 민노총의 도 넘은 일탈

윤 대통령 취임 100일, 국정궤도 바꿀 적기다

▲ 한국경제 = '산 넘어 산' 이번엔 中 쇼크…더 짙어지는 글로벌 불황 먹구름

노동개혁 나선 李고용장관, 쉬운 길로만 가려고 해선 안 된다

'국민' 내세우며 자세 낮춘 尹대통령, 국정철학 재정립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