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막지 못한 '수원 세 모녀'의 죽음, 복지시스템 재검토해야

감사원의 문 정부 '신재생·백신' 점검, 정치감사 안 된다

초·중등 코딩 교육 의무화, 교원확보 대책은 있나

▲ 국민일보 = 수원 세 모녀 비극, 여전히 갈 길 먼 사회안전망 구축

쌀 농정 난맥상 언제까지 눈치만 보고 있을 건가

국민의힘 혁신, 권력 싸움 벗어나 유권자만 보고 진행해야

▲ 서울신문 = 갈 길 먼 사회안전망 확인한 수원 세 모녀 비극

탈원전·백신 감사, 감사원 위상 회복의 기회다

국회는 특별감찰관·북한인권재단 이사 즉각 추천해야

▲ 세계일보 = '복지 사각' 수원 세 모녀 비극, 찾아가는 행정은 말뿐인가

감사원의 前정부 정책감사, 독립성 확보가 관건이다

'100만 디지털인재 양성', 의견 수렴해 신중히 추진해야

▲ 아시아투데이 = 갈등·역풍 부를 '김건희 특검법안' 철회해야

정부정책 제대로 알리라는 尹 대통령 질타

▲ 조선일보 = 이번엔 수원 세 모녀, 복지 사각지대 없앨 방법 정말 없나

野 '김건희 특검' 주장, 정치 희화화 말고 특별감찰관 추천해야

정부 정책 반대했다고 징계 추진 與, 금태섭 내쫓은 野와 뭐 다른가

▲ 중앙일보 = 촘촘한 복지행정으로 수원 세 모녀 비극 재발 막아야

한·중 수교 30년…화이부동으로 새로운 미래 열자

▲ 한겨레 = 전 정권 정책 겨냥 감사원, '정치 감사' 비판 유념해야

수원 세 모녀 사건이 또다시 드러낸 복지 사각지대

'검찰 수사권 확대' 모순되는 법 해석 강변한 한동훈

▲ 한국일보 = 수원 세 모녀 비극…도대체 달라진 게 뭔가

커지는 '코드 감사' 논란, 독립성 시비 자초하나

대우조선 500억 손배소, 갈등 재발 우려된다

▲ 디지털타임스 = 종부세 완화 법개정 책임 떠미는 여야, 국민고통 안중 없나

신냉전 속 한중수교 30년…역지사지로 공진공생 찾아야

▲ 매일경제 = 종부세 완화안 국회 정쟁에 발목, 50만 납세자 아우성 안들리나

여야 특별감찰관 인선 확정 짓고 北 인권이사 추천 서둘러라

'송파 세 모녀' 이어 복지 사각지대 드러낸 '수원 세 모녀' 비극

▲ 브릿지경제 = 한국과 중국, 흔들리지만 여전한 파트너

▲ 서울경제 = 종부세 50만명 혼란 우려, 여야 생색내기 멈추고 입법 나서라

'속 빈 강정' 소부장 자립…초격차 기술과 자원 확보가 해법

당내 민주주의·협치에 역행하는 민주당 팬덤 정치

▲ 이데일리 = 천장 뚫린 환율, 이대로는 성장도 물가안정도 없다

WTO 가는 美의 한국산 전기차 차별, 총력 대응해야

▲ 전자신문 = 글로벌 '초격차' 한국 TV

빅테크 보험 중개 거스를 수 없다

▲ 한국경제 = 치솟는 환율, 쌓이는 무역적자…복합위기 걸맞은 대응 나서야

전기차 전환 나선 포드, 3000명 정리해고…한국은 꿈도 못 꿀 일

1년 새 10배 뛴 천연가스…총리가 월동물량 책임지고 확보하라

▲ e대한경제 = 심상찮은 원·달러 환율 오름세…경제 파장 면밀히 대비해야

복합위기 진원지, 추석물가 안정에 정권 명운 달렸다

▲ 파이낸셜뉴스 = 경쟁과 협력으로 세계 경제 쌍두마차 되자

' 美인플레법' WTO 제소 등 할 수 있는 것 다 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