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수교 30년 맞아 상호 존중 강조한 한·중 정상, 실천에 옮겨야

형제복지원 국가폭력 인정, 진실 다 밝히고 피해 구제해야

기밀인 대통령 동선까지 흘린 김건희 팬클럽 놔둘 건가

▲ 국민일보 = 당헌 개정안 부결에도 '이재명 방탄' 다시 밀어붙이겠다니

대통령 대외비 일정마저 김건희 팬클럽에 유출되는 나라

35년 만에 국가폭력 인정된 형제복지원 사건

▲ 서울신문 = 건전재정, 취약층 배려 공존은 지출 조정이 필수다

출산율 0.8명도 위험, 이민청 공론화 시작해야

중국 사드 보복에 대응하는 美 법안에 기대한다

▲ 세계일보 = '이재명 방탄용' 당헌에 제동 건 민주당 중앙위

尹정부 첫 예산 촘촘한 사회안전망 짜되 혈세 낭비는 막아야

35년 만에 국가폭력 인권침해 결론 난 형제복지원 사건

▲ 아시아투데이 = 특별감찰관, 조롱조로 다룰 사안 아니다

부채 1위 한전, 전기료 인상 전 자구책 찾아야

▲ 조선일보 = 하루 동안 민주당서 벌어진 온갖 상식 밖 행태들

대우조선의 470억 손배訴 '노조는 불법해도 된다' 인식 끊어야

이재명 의원의 "7만8000원 사건"

▲ 중앙일보 = 감사원의 전 정부 감사, 불가피하지만 오해 없도록

여야, 종부세 감면 합의해 1주택자 부담 덜어야

▲ 한겨레 = 민주당 전대, 사당화·당헌 개정 논란밖에 안 보인다

'국가 폭력' 형제복지원, 35년간 지연된 정의

한-중 '전략적 소통 강화' 천명, 정상회담으로 이어지길

▲ 한국일보 = 대통령 일정까지 유출…영부인 팬클럽 놔둘 건가

수교 30돌에 소통 의지 강조한 한중 정상

형제복지원 국가책임 인정, 피해자 구제 따라야

▲ 디지털타임스 = 실효성 적은 현금성 지원 늘린 당정, 前정권 전철 답습하려나

출산율 곤두박질…'국가자살'로 가는데 위기의식 안보인다

▲ 매일경제 = 尹정부 1기 신도시 재건축 오락가락, 이래서 정책 신뢰 얻겠나

경단녀·저출산 해소위해 '외국인 가사도우미' 공론화 나서야

아랫사람 탓만 한 법인카드 유용사죄, 국민이 납득하겠는가

▲ 브릿지경제 = 물가폭등 없도록 환율 방어에 최선을

▲ 서울경제 = '포퓰리즘 복지' 걷어내고 '약자 복지' 촘촘히 하라

최악 인구절벽, 국내외 인재 몰려드는 '매력국가' 만들어야

알박기 인사 논란 없애려면 '한국형 플럼북' 도입하라

▲ 이데일리 = '약자복지' 특단의 조치, 그물 구멍부터 확실히 메워야

복덩이 호주 가스전, 해외자원개발 이유 보여줬다

▲ 전자신문 = 정치, '권력' 아닌 '민생' 챙겨야

프랜차이즈 大戰, 졸면 죽는다

▲ 한국경제 = 건전재정 외치더니 '청년 도약준비금' 300만원은 또 뭔가

의료 과소비 부른 문재인 케어…건강보험 전면 쇄신해야

김건희 특검법, 한동훈 탄핵론, 감사원 때리기…막 나가는 巨野

▲ e대한경제 = 이준석 전 대표, 尹 대통령과 당 비판 이쯤 해서 멈춰야 한다

출산율 세계 꼴찌, 돈이 아니라 디테일로 반전 도모해야

▲ 파이낸셜뉴스 = 다들 자국산에 보조금 주는데 한국만 봉인가

백약무효 저출산, 포용적 이민정책으로 풀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