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신약 '에프룩시페르민'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효과 탁월"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치료를 위해 개발된 실험 신약 에프룩시페르민(EFX: efruxifermin)이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매우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아주 적게 마시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으로 방치하면 간 섬유화-간경화-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등이 위험요인이다.

 이 신약을 개발한 아케로 세러퓨틱스(Akero Therapeutics) 사는 EFX가 두 번째의 2상 임상시험(HARMONY)에서 간 섬유화(fibrosis)와 NASH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을 진행한 피너클 임상 연구소(Pinnacle Clinical Research)의 스티븐 해리슨 의료 실장은 EFX가 임상시험에서 1차 평가변수(primary endpoint)와 2차 평가변수(secondary endpoint)를 모두 충족했다고 밝혔다.

 피너클 임상 연구소는 간과 소화기관 분야의 임상시험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소이다.

 임상시험은 간 섬유화 2~3단계인 간경화 직전의 NASH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은 먼저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그룹엔 EFX(50mg 또는 28mg), 다른 그룹엔 위약이 투여됐다.

 24주 후 EFX 50mg 그룹에서는 41%, 28mg 그룹에서는 39%가 NASH가 더 악화하지 않은 채 간 섬유화가 1단계 이상 개선돼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20%에 그쳤다.

 또 EFX 50mg 그룹은 76%, 28mg 그룹은 47%가 간 섬유화가 악화함이 없이 NASH가 개선돼 2차 평가변수도 충족했다.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15%였다.

 1차와 2차 평가변수가 모두 충족된 경우는 EFX 50mg 그룹이 41%, 28mg 그룹이 29%였다.

 내약성과 안전성은 첫 번째 2상 임상시험과 마찬가지로 양호했다고 아케로 사는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