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0일 조간)

▲ 경향신문 = 정부의 초과이익환수 무력화, 부자감세의 전형이다

교육·노동계 무시한 이주호·김문수 지명 철회해야

윤 대통령 외교실패 책임 물어 박진 해임안 통과시킨 민주당

▲ 국민일보 = 여야의 MBC 고발과 한동훈 고소는 상식과 거리가 멀다

교육부 장관에 이주호 지명, 그렇게 인물이 없나

북 도발에 DMZ 방문으로 경고한 해리스 미국 부통령

▲ 서울신문 = 이주호 교육장관 후보 교육개혁 의지 검증해야

DMZ서 동맹 강조한 해리스, 전기차 해법도 힘쓰길

박진 해임안 밀어붙인 巨野 민주당, 폭주 멈춰라

▲ 세계일보 = 尹정부 인재풀 한계 드러낸 이주호·김문수 인선

美의 IRA 입장 변화 기대감 높인 해리스 부통령 방한

박진 해임안' 강행한 巨野, 국익보다 정파 이익이 우선인가

▲ 아시아투데이 = 자위대와 연합훈련, 북핵 위협 관점에서 봐야

거야, 박진 해임보다 민생 안정에 부심하길

▲ 조선일보 = 北 SLBM 막을 한·미·일 해상 훈련, '친일 몰이' 이용 안 돼

어느새 일상으로 파고든 마약, 전쟁한다는 각오로 막아야

외교장관 해임안 강행 처리 野, 국익 해치는 정략

▲ 중앙일보 = 민주당의 외교부 장관 해임 건의, 도 넘었다

'공고한 한·미 동맹' 확인한 윤석열·해리스 회동

▲ 한겨레 = '면죄부' 내주고 끝난 검찰의 '고발 사주' 김웅 수사

한-일 현안 해결 없는 한·미·일 군사훈련 우려한다

박진 해임건의안 통과, 정국 급랭 대통령이 풀어야

▲ 한국일보 = '공교육 후퇴' 이주호, 10년 만에 또 교육부 장관

박진 해임안 통과, 여야 속히 출구전략 세우길

美 부통령 "한국 IRA 우려 해소안 마련"…빈말 안 돼야

▲ 디지털타임스 = 해리스 "전기차 우려 잘 알아"…修辭 아닌 결과로 이어져야

여야 대표들, "민생협의" 말만 말고 법안부터 당장 처리하라

▲ 매일경제 = 방한 해리스 "한국 전기차 차별 해소" 립서비스에 그쳐선 안된다

美·英은 문제 안 삼는데 민주당은 뭘 갖고 외교참사라는 건가

입국자 PCR 검사 폐지해 더 많은 관광객 한국 찾게 해야

▲ 브릿지경제 = 대미 투자 확대하는 한국엔 '차별적 예우'를

▲ 서울경제 = 한미, 안보·경제·기술동맹 '그랜드바겐'으로 상호이익 찾아야

무너지는 수출 전선, 체질 개선 골든타임 놓치지 말라

가계·기업 숨넘어가는데 도대체 정치는 어디에 있나

▲ 이데일리 = 고환율에 직격탄 맞은 한국경제, 정부 대응 안이하다

에너지대란 속 위기불감증…줄이고 아껴쓸 때 됐다

▲ 전자신문 = 여·야 정치인만 모르는 民心

반도체 투자, 대만에 뒤진 한국

▲ 한국경제 = 포퓰리즘法 차단, 긴축예산 유지…여당의 정기국회 양대 과제

脫원전 겨우 벗어났지만, 원전 생태계 복원 갈 길 멀다

증안펀드까지 꺼낸 당국, '시장 안정' 실기 말아야

▲ e대한경제 = 부진 늪에 빠진 기업 체감경기 경기 둔화로 이어지지 않게해야

민주당, 재건축 부담금 완화 법 개정에 협조하는게 순리다

▲ 파이낸셜뉴스 = 타다' 공유서비스는 무죄, 혁신 불길 되살리길

서민과 약자 울리는 보이스피싱과의 전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