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영향' 10명 중 3명 우울…감염 불안감·관계 단절 컸다

사회 불안요인 '신종 질병' 최다…2년 전보다 비중은 12%p↓
스트레스 원인은 직장생활 1위…100명 중 6명은 자살 충동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우울했다는 국민이 10명 중 3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는 '신종 질병'을 꼽는 사람이 최다였는데, 다만 그 비중은 2년 전보다 10%포인트(p) 넘게 줄었다.

 ◇ 코로나19로 일상생활 우울감 느낀 사람 30.3%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코로나19로 일상생활에서 우울감을 느낀다는 사람의 비중은 '매우 느낀다' 5.2%와 '약간 느낀다' 25.1% 등 30.3%였다.

 우울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사람의 비중은 '느끼지 않는 편' 23.8%, '전혀 느끼지 않는다' 10.9% 등 34.7%로 우울감을 느낀다는 사람보다 4.4%포인트 많았다.

 우울감을 느낀다는 사람은 여자가 35.1%로 남자 25.5%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33.7%, 50대가 32.5%로 높았고 13∼19세와 20대는 각각 20.0%, 26.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울감을 느끼는 이유는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49.6%로 가장 많았고, 모임 자제 등으로 인한 관계 단절과 소통 감소(18.4%), 여행·외출 자제로 인한 갑갑함(14.2%), 학업·취업 및 일자리 유지의 어려움(7.8%) 순이었다.

 코로나19 기간 자신이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하기 등 방역수칙을 잘 지켰다고 평가한 사람(복수응답)은 99.1%, 다른 사람이 방역수칙을 잘 지켰다고 평가한 사람은 95.4%였다.

 올해 19세 이상 취업자 중 지난 1년간 재택근무를 한 사람은 17.7%였고 이 중 재택근무가 효율적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64.8%, 비효율적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35.2%였다.

 18세 이하 인구 중 지난 1년간 원격수업을 했다는 사람은 88.5%였는데 이 중 59.1%는 원격수업이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답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중 앞으로도 가속할 변화로는 배달·배송을 통한 소비 증가(18.4%)가 꼽혔고,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는 변화는 친목·사교모임 감소(58.3%)와 직장 단체 회식 감소(52.6%)였다.

 ◇ 사회 불안 요인 1위 신종질병…자살 충동 느낀 사람 5.7%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는 신종 질병을 꼽는 사람이 21.0%로 가장 많았다.

 사회 불안 요인으로 신종 질병을 꼽은 비중은 2018년 2.9%에 불과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에는 32.8%로 치솟았다가 올해는 11.8%포인트 감소했다.

 신종 질병 다음으로는 국가 안보(14.5%), 범죄 발생(13.9%), 경제적 위험(13.3%)이 불안 요인으로 꼽혔다.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3.3%로, 2년 전보다 1.5%포인트 늘었다.

 국가 안보, 먹거리 위생, 식량 안보, 자연재해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았으나 정보 보안, 범죄, 화재, 교통사고, 신종 질병, 개인정보 유출은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44.9%로 2년 전보다 5.6%포인트 줄었으며, 여자(47.6%)가 남자(42.3%)보다 많았다.

 직장생활 스트레스가 62.1%로 가장 높고 학교생활(35.6%), 가정생활(34.9%)이 뒤를 이었다.

 지난 1년 동안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고 생각해 본 사람은 5.7%로 2년 전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여자(6.4%)가 남자(4.9%)보다 자살 충동을 더 많이 느꼈다.

 자살 충동 이유는 질환·우울감·장애(35.4%), 경제적 어려움(27.6%), 직장 문제(11.1%), 가정불화(8.9%) 등이었다.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평가하는 사람은 53.1%로 2년 전보다 2.7%포인트 늘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