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일본의 책임 인정·사과 빠진 강제동원 배상 안 된다

MB 풀어준 무원칙하고 기이한 사면, 이것이 법치인가

서울 상공 헤집고 다닌 북 무인기, 군은 그동안 뭐했나

▲ 국민일보 = 시민단체 국고보조금 재정비 지시…진영 논리는 없어야

무능한 軍, 도무지 믿을 수가 없다

▲ 서울신문 =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위한 원전 육성 차질없기를

정치인 사면할 일 없는 정치에 힘써야

군 무인기 대응, 철저히 되짚지 않으면 또 뚫린다

▲ 세계일보 = 내년 수출 "6800억달러 이상 달성", 장밋빛 전망 그쳐선 안 돼

교권침해' 학생부 기록, 교육활동·학습권 보호 계기 삼길

北무인기 집단 도발에 허점 노출 영공 방어망 손봐야

▲ 아시아투데이 = MB사면, 국정과제에 전념하기 위한 큰 걸음

"한국 반도체 미래 없어졌다"는 경고 경청해야

▲ 조선일보 = 文 정부의 비정상적 통계 집착, 이유가 뭐였나

2달에 1대꼴 추락, 미사일 절반 실패, 훈련 안 한 軍의 실상

드론 전쟁 시대 된 지 언제인데 항상 뒷북 한국 안보

▲ 중앙일보 = 예산 57조 퍼붓고도 북 도발 때마다 구멍 뚫리는 국방

2035년 의사 2만7000명 부족, 의대 증원 검토해 볼 때다

▲ 한겨레 = 북 무인기 침범 커진 불안, 대통령 '전 정권 탓' 할 땐가

뻥뻥 터지는 '전세사기' 수사·구제책 너무 느리다

노골적인 '우리편' 챙기기 특사, 공정도 상식도 아니다

▲ 한국일보 = 너무나 초라한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

'적폐'까지 풀어준 정치인 특사, 국민통합 아니다

北 드론에 영공 농락당한 군, 과연 믿을 수 있나

▲ 대한경제 = 용산까지 넘본 북한 무인기, 안보에 큰 위협이다

尹 정부 신년 특사, 국민대통합 이루는 출발점 되어야

▲ 디지털타임스 = 이명박·김경수 등 신년특사…국민화합과 협치 출발점 되길

北 무인기 속수무책 軍…尹, 文정권 친북유산 더는 방치 말아야

▲ 매일경제 = 세금으로 친북교육한 시민단체 퇴출, 다른 엉터리 지원도 끊어야

北무인기 격추실패·5년간 드론훈련 전무…이런 軍 믿을수 있겠나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안전운임제와 맞교환할 사안 아니다

▲ 브릿지경제 = 고금리에 갇힌 부동산 시장, 이대론 안된다

▲ 서울경제 = 시민' 이름으로 '정치' 하는 단체, 세금 지원 중단하라

구멍 뚫린 방공망, 실전 훈련 재개로 안보 불안 해소해야

꺾이지 않는 수출강국 만들려면 신수종 육성 뒷받침하라

▲ 이데일리 = 문 정부때 급증한 통계 사전 열람, 철저 조사 필요하다

또 빈말 된 재정준칙 도입, 나랏빚 이대로 방치할 건가

▲ 전자신문 = 수출 회복·산업 대전환 조화를

미래전 대응 열쇠는 '과학기술'

▲ 파이낸셜뉴스 = 서민 울리는 전세 사기 원천봉쇄 장치 내놓아야

반도체 혹한기 수출 역성장, K칩스법부터 챙겨라

▲ 한국경제 = 일몰 법안 처리, 주고받기식 야합 아닌 원칙 따라야

통계청 자료 무차별 사전열람한 文정부…조작 의심 살만하다

흔들리는 안보와 경제…보수정권의 위기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