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0일 조간)

▲ 경향신문 = 42명 사상 과천 고속도 화재가 일깨운 방음터널의 위험성

100% 당심' 전대에 당협까지 '윤석열당' 속도내기인가

무인기에 "전쟁 준비" 언급한 윤 대통령, 파장은 생각 않나

▲ 국민일보 = 코로나 급증 중국발 입국자, 제대로 된 규제 대책 제시하라

혹한기로 치닫는 경기…기재부의 위기의식이 안 보인다

▲ 서울신문 = 中 비밀경찰서 운영 의혹 실체 철저히 가려야

양곡법 강행에 '윤미향 카드' 꼼수까지 쓴 민주당

경제위기에 과감한 도전 다짐한 경제단체장들

▲ 세계일보 = 5년간 무인기 요격 훈련 안 한 軍, 전투력 회복이 급선무

中 새 변이 확산 비상, 입국자 전원 검사 의무화하라

새해 공공요금 무더기 인상, 경제·서민 충격 최소화해야

▲ 아시아투데이 = 쌀 과잉생산에 세금 축내는 양곡관리법 꼼수상정

민노총 불법, 정부 의지만 강하면 막을 수 있다

▲ 조선일보 = 대통령 질타에 무인기 대응훈련, 쇼 말고 실전 훈련 해야

민주당 법안 처리 꼼수에 또 파렴치 혐의 윤미향 동원

중국발 승객 절반이 코로나 양성, 중국인 입국 자체를 줄여야

▲ 중앙일보 = 불가피한 전기요금 인상, 산업 넘어 안보의 문제

중국발 코로나 재확산 우려, 대비 철저히 해야

▲ 한겨레 = 너무 쉽고 가볍게 "응징·보복" 입에 올리는 윤 대통령

경기 급랭에 공공요금 인상까지, 서민 생계비 덜어줘야

이주노동자 정책 전환, 일의 질·인권 문제도 개선돼야

▲ 한국일보 = 코로나 빗장 푼 중국…당국 신종변이 대비를

경제 한파 본격화, 침체 깊지 않게 대응책 고삐 좨야

尹대통령의 北도발 대응 발언 '절제와 내실' 아쉽다

▲ 대한경제 = 반도체 생산 격감·소비 감소 등 경기 위축에 선제적 대응이 절실

조폭 뺨치는 건설현장 불법행위, 정권 명운 걸고 뿌리뽑아야

▲ 디지털타임스 = 소비 한파에 반도체도 내림막…규제혁파로 활력 회복해야

소상공인 위한 연장근로 외면하고 '민생' 외친 李, 모순 아닌가

▲ 매일경제 = 지하철 요금 인상 부른 무임승차, 노인 연령 상향 검토해야

영세中企 범법자될 판인데 '윤미향 꼼수'로 양곡법 챙긴 민주당

조폭 뺨치는 건설노조 불법 행위, 민관이 협력해 뿌리 뽑아야

▲ 브릿지경제 = 대형마트 문제 '규제 개혁' 방향에서 푸는 게 맞다

▲ 서울경제 = 평화 지키려면 北 도발에 보상 아닌 응징을 해야

동료 의원 체포 막은 巨野, 모든 것을 검찰 탓으로 돌릴 건가

환부작신' 자세로 구조 개혁하고 투자·고용 적극 나서라

▲ 이데일리 = 시동 걸린 이민청 설립, 인구 위기 극복 출발점 삼아야

사법시스템 비웃고 퍼주기 법안 지른 巨野의 몰염치

▲ 전자신문 = K-게임, 중국 사업 철저한 준비를

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시급

▲ 파이낸셜뉴스 = 대형마트 규제 폐지 수순, 전통시장과 상생 꾀해야

일몰 법안 외면하고 방탄 선택한 후안무치 국회

▲ 한국경제 = 빌라왕 사기로 망가지는 민생…실효성 있는 대책 필요하다

국민연금, KT 대표 연임에 개입하는 방식·의도 부적절하다

'쌀 의무매입법' 밀어붙이는 巨野, 농업 생태계 붕괴시킬 셈인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