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호황 끝…화이자, 백신·치료제 매출 지난해 70조원→올해 26조원 예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로 기록적인 호황을 누렸던 미국의 제약사 화이자가 올해를 기점으로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는 자체 분석을 내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현지시간) 화이자가 이날 주주들에게 올해 백신과 치료제 등 코로나19 관련 매출 예상액으로 215억 달러(약 26조5천억 원)를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와 관련해 지난해 기록한 매출 567억 달러(약 70조 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액수다.

 이에 따라 지난해 1천억 달러(약 123조6천억 원)를 넘겼던 화이자의 전체 매출도 올해는 670억~710억 달러(약 82조8천억~87조7천억 원)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함께 개발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과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로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오는 5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종료될 경우 매출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3년 전 미국 정부는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코로나19 검사와 백신, 치료제 비용을 부담했지만, 비상사태가 종료되면 이 비용은 환자 개인이 내야 한다.

 화이자는 미국 정부와의 계약이 끝나고 상업적 유통이 시작될 경우 백신 1회 접종 가격을 110~130달러(약 13만6천~16만1천 원)로 올릴 계획이다.

 다만 다른 감염병 백신처럼 화이자가 직접 병원과 약국에 백신을 유통할 경우 백신 수요도 줄어들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코로나19와 관련한 매출은 꾸준하게 이어지더라도, 지난 2년간 이어진 호황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올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화이자의 주가는 15%가량 하락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