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의 골밀도 감소, 치매 예고 신호일 수 있다"

 대퇴골의 골밀도 감소가 치매 예고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에라스뮈스(Erasmus) 대학 메디컬센터의 모하마드 이크람 역학 교수 연구팀이 치매가 없는 노인 3천651명(평균연령 72.3세, 여성 57.9%)을 대상으로 진행된 전향적 인구 동일 집단 연구인 '로테르담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으로 대퇴골 경부(femoral neck)와 요추 등의 골밀도 검사를 받았다.

 이와 함께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와 '노인 정신상태 검사'(Geriatric Mental Schedule)를 통해 치매 검사도 받았다.

 평균 11.1년의 추적 관찰 기간에 이중 18.8%가 치매 진단을 받았다. 그중 76.7%는 알츠하이머 치매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약 27%는 치매 위험이 매우 높은 변이 유전자(ApoE-e4)를 지니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표준편차(평균값: standard deviation)가 1단위 낮아질 때마다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은 12%씩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중에서도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은 14%씩 높아졌다.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최하위 3분의 1그룹은 최상위 3분의 1그룹보다 치매 발생률이 2.03 배 높았다.

 그러나 이는 남성에만 해당했다.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낮은 남성은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이 56% 높았다. 여성은 대퇴골 경부 골밀도와 치매 사이에 연관이 없었다.

 또 치매 위험이 높은 ApoE-e4 변이유전자를 갖지 않은 노인들만이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낮을 때 치매 위험이 3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변이 유전자를 가진 노인들은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치매와 연관이 없었다.

 대퇴골 경부 골밀도 손실은 치매의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기 수년 전 치매의 아주 초기 단계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감소는 뇌의 구조 변화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전에 발표된 일이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뇌의 구조 변화 가운데는 ▲백질 용적 감소 ▲백질 변성(white matter hyperintensity) 증가 ▲무증상 뇌경색(silent brain infarction) ▲뇌 실질 위축(parenchymal atrophy)이 포함된다고 이 연구 결과는 밝히고 있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피질은 회색(gray matter)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치매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뇌 신경세포의 비정상 단백질 메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Alzheimer's Association) 의학·과학 담당 부회장 히서 스나이더 박사는 뼈와 뇌 건강이 어떻게 연관성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신체활동 부족과 영양 결핍이 골밀도 손실과 인지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인지기능 저하가 신체활동 부족과 부정적인 식습관 변화를 가져오고 이것이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코로나 결석, 출석 인정 추진…병원 외래진료땐 마스크 써야
정부가 다음달 1일부터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없애는 등 방역 전환조치를 시행한다. 첫 환자 발생 이후 3년 4개월만에 방역 규제가 대부분 해제되는 것이다. 다만 격리 의무는 사라져도 '5일 격리'는 권고 형태로 남는다. 약국이나 의원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는 의무적으로 써야 한다. ※※※ 확진자에게 발송되는 격리 통지 문자는 양성확인 통지 문자로 대체된다. 격리 해제 시점은 6월1일 0시로 이전에 확진돼서 격리 기간이 남은 사람도 이 시점에 격리가 풀린다. 방역 전환조치로 달라지는 점을 질의응답 방식으로 정리했다. --병의원 입원자나 감염취약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도 격리 의무는 사라지나 ▲ 대상자를 제한하지 않고 모든 사람에 대해 격리 의무는 사라진다. 다만 방역당국은 의료기관과 감염취약시설의 취약집단을 보호하기 위해 격리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계와 협의해 '자발적 동의'에 따른 격리 조치는 유지되도록 할 계획이다. --확진자 격리 의무 등 방역 규제가 풀리는 시점은 언제인가 ▲ 6월1일 0시다. 예를 들어 5월 29일 확진된 사람에게는 5월 31일 밤 12시까지만 격리 의무가 주어진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자외선 차단 기능, 선글라스는 있고 안경은 없다?
요즘 같은 봄철에는 자외선이 유난히 강하다. 자외선이라고 하면 피부 손상만 생각하기 쉽지만 '눈'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눈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각막뿐만 아니라 수정체, 망막까지 도달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년 이후 연령대에서는 백내장, 황반변성 등 노인성 안질환의 발병 시기를 앞당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장기간 자외선 노출 땐 백내장 발병 위험 증가 백내장은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노화나 외상, 전신질환, 눈 속 염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 후천성이 대부분이다. 나이가 들면서 노화의 일부로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은 60대의 절반 이상, 75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이 앓는 질환이다. 노화 외에 백내장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외부요인 중 하나는 자외선이다. 자외선이 눈 속에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면 몸의 산화 균형이 깨지면서 수정체 단백질이 변성되는 것이다. 만약 이미 백내장이 있는 환자라면 자외선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자외선이 수정체의 노화를 촉진해 백내장 진행이 더욱 빨라질 수 있어서다. ◇ 자외선으로 손상된 망막, 실명 질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