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물질로 암 치료 가능?…국내외 연구진 실험서 입증

  국내외 연구진이 암 진단 형광물질로 암을 치료할 가능성을 발견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과 장영태·IT융합공학과 강남영 교수, 싱가포르 연구기관인 에이스타(A*STAR) 공동 연구팀이 TiY 형광물질이 종양을 유발하는 세포를 염색하는 동시에 종양세포를 억제해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결과를 실험으로 입증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를 통해 몸속에서 종양 줄기세포만 찾아 형광펜처럼 염색하는 TiY 형광물질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 종양에서 채취한 종양 줄기세포를 생쥐에 이식하고 정맥을 통해 주입하는 TiY 양을 늘렸다.

 그 결과 낮은 농도에서는 종양 줄기세포가 염색됐고 높은 농도에서는 종양 줄기세포 증식이 억제되고 급격히 사멸했다.

 연구팀은 TiY 분자가 몸속 여러 세포 중 종양 줄기세포 골격을 이루는 근육 단백질인 '비멘틴'에만 결합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이 같은 선별적 염색과 치료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치료와 진단 관련 맞춤의학 권위지인 '테라노틱스'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올것이 왔다"…제약바이오업계, 트럼프 의약품 관세 대응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2주 내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의약품 가격과 관련, 다음 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며 "전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천만달러에 달한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37억4천만 달러로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약품 수출이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미국·유럽 지역에서의 실적 호조로 1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하지만 의약품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큰 발표',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 등 과격한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8일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달 2일 발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