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예방 변이유전자 발견…"20년 이상 발병 늦춰"

독·미 연구팀 "60대 남성서 변이유전자 확인…치료법 개발 기대"

 40대에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가진 남성이 60대 후반까지 이 병에 걸리지 않게 막아준 희귀한 알츠하이머병 예방 변이유전자가 발견됐다.

 독일 함부르크 에펜도르프 대학병원과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은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병'(ADAD)을 유발하는 위험 유전자를 가졌지만 67세까지 발병하지 않은 남성에게서 알츠하이머병 예방 변이유전자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예방 변이유전자가 발견된 것은 수년 전 한 여성에게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다른 변이를 확인한 데 이어 두번째라며 이들 연구 결과가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높은 사람들의 발병을 막아주는 새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DAD는 희귀한 유전성 알츠하이머병으로 막단백질 프레세닐린1 암호가 담긴 유전자 'PSEN1'의 변이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 변이가 있는 사람은 40~50세 젊은 나이에 기억력 손상 같은 초기 인지 장애가 나타나며 발병하는 게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PSEN1 유전자 변이가 있고 뇌에서는 심각한 위축과 아밀로이드 플라크, 스파게티처럼 얽힌 타우 단백질 등이 발견됐음에도 67세까지 알츠하이머병에 걸리지 않은 한 남성을 발견했다.

 이 남성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연구팀이 수년 전 한 여성에게서 발견한 알츠하이머병 예방 변이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이 남자는 여성과는 다른 희귀한 유전자 변이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여성은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인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에 발생한 '크라이스트처치'라는 변이가 30년간 발병을 늦춘 것으로 분석됐으나 이 남성은 신호 단백질 리일린(Reelin) 정보가 담긴 유전자(RELN)에 희귀 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여성은 뇌 전체에 걸쳐 알츠하이머병 표지물질인 타우 단백질 집합체가 없었으나 이 남성은 알츠하이머병 발병 초기에 특히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뇌 영역인 '내후각 피질'(entorhinal cortex)에만 타우 단백질 집합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RELN 유전자 변이가 타우 단백질 응집을 막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APOE 유전자와 RELN 유전자 변이가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들 변이 유전자와 같은 기능을 해 알츠하이머병 발병 시기를 20~30년 늦추는 약이 개발되면 인류가 직면한 최대 보건의료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치매 예방과 치료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하버드대 의대 조지프 아르볼레다-벨라스케스 교수는 뉴욕타임스(NYT)에서 "약물로 내후각 피질을 보호한다는 가설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알츠하이머와 유사한 병에 걸리는 쥐의 뇌에 돌연변이 형태 리일린 단백질을 투여해 보호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이미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