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식품 많이 섭취하면 어린이 사고력·주의력 향상 효과"

美 연구팀 "이소플라본 성분, 어린이 인지능력 강화 작용"

 콩 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어린이의 사고력과 주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콩에 들어 있는 이소플라본 성분이 어린이 인지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나이만 A. 칸 교수팀은 2일(현지 시각)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 연례 회의(NUTRITION 2024)에서 7~13세 어린이의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인지 능력 간 연관성을 알아보는 실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아즐라 브리스티나 연구원(박사과정)은 "미국에서 콩 식품이 어린이 식단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이 연구는 콩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가 어린이의 인지 능력에 중요하다는 증가를 제시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7~13세 어린이 128명을 대상으로 7일간의 식단 기록 정보를 통해 이소플라본과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한 다음 서면 테스트로 일반적인 지능 능력을 평가했다.

 이어 컴퓨터 과제를 통해 주의력을 측정하고 뇌파(EEG) 활동을 기록해 정보처리 속도와 주의력을 측정했다.

 어린이들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량은 0㎎~35㎎으로 큰 차이를 보였지만 평균 1.33㎎으로 평소 콩 식품 섭취량이 대체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실험에서는 이소플라본이 함유된 콩 식품을 많이 섭취한 어린이들이 주의력 과제에서 더 빠른 반응을 보였고, 정보처리 속도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일반적인 지적 능력 사이에서는 의미 있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브리스티나 연구원은 이소플라본이 두유 240㎖에는 28㎎, 두부 1컵에는 35㎎, 완두콩 반 컵에는 18㎎ 들어 있다며 볶은 콩이나 완두콩, 두유, 두부 등이 어린이들에게 좋은 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콩 식품의 건강 효능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라며 다만 어린이의 인지 능력 향상에 필요한 콩 식품 섭취량을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구체적인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