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20일)

[오늘의 증시일정](20일)
    ◇ 주주총회
    ▲ (주)인포마크[175140]
    ▲ (주)엔에이치엔벅스[104200]
    ▲ 한국캐피탈(주)[023760]
    ▲ 에스맥(주)[097780]
    ▲ 주식회사 에이아이더뉴트리진[311960]
    ▲ 오성첨단소재(주)[052420]

    ◇ 신규상장
    ▲ 와이랩[432430]

    ◇ 추가 및 변경상장
    ▲ 삼일제약(주)[000520](BW행사 1만4천102주 7천91원, CB전환 6만9천108주 7천235원)
    ▲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245620](BW행사 135만3천80주 1천517원)
    ▲ (주)자비스[254120](BW행사 5만454주 1천982원)
    ▲ 에스지이(주)[255220](BW행사 175만454주 1천125원)
    ▲ (주)루트로닉[085370](주식전환 1만1천632주 1만570원)
    ▲ (주)수젠텍[253840](주식전환 4만7천766주 1만4천210원)
    ▲ 주식회사 티움바이오[321550](주식전환 6만8천45주 1만5천430원)
    ▲ 주식회사 타스컴[336040](주식전환 11만9천972주 1만2천336원)
    ▲ (주)엔켐[348370](주식전환 5천70주 5만9천150원, 주식전환 1만3천475주 5만5천648원)
    ▲ (주)포시에스[189690](무상증자 1천821만4천646주)
    ▲ (주)토마토시스템[393210](무상증자 1천16만2천322주)
    ▲ (주)한창[005110](유상증자 1천363만6천364주 660원)
    ▲ (주)엘아이에스[138690](유상증자 3천만주 500원)
    ▲ (주)프로스테믹스[203690](유상증자 19만2천196주 5천203원)
    ▲ 씨에스베어링 주식회사[297090](스톡옵션 23만주 2천500원, 스톡옵션 4만주 3천원)
    ▲ (주)하이딥[365590](스톡옵션 15만87주 122원)
    ▲ 금호전기(주)[001210](CB전환 11만4천678주 872원, CB전환 110만4천970주 905원, CB전환 45만2천488주 884원)
    ▲ 엠벤처투자(주)[019590](CB전환 56만538주 892원)
    ▲ 주식회사 필옵틱스[161580](CB전환 9만1천428주 8천750원)
    ▲ 엘티씨(주)[170920](CB전환 13만6천208주 8천810원)
    ▲ (주)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CB전환 88만5천225주 3천276원, CB전환 27만7천948주 3천238원)
    ▲ (주)아우딘퓨쳐스[227610](CB전환 177만6천830주 1천407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9일) 주요공시]
    ▲ 화인베스틸[133820] "인포인 주식 149억원어치 취득…지분율 53.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