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 후 두통·고열 등 나타나면 진드기 감염병 의심해야

야외활동 시 긴 소매·바지 권장…물리지 않는 게 최선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다녀온 뒤 갑작스럽게 두통이나 고열이 발생했다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의심해야 한다.

 두통과 고열에 더해 몸에 검은 딱지까지 포착됐다면 감기·몸살로 오인하지 말고 신속하게 병원을 찾는 게 좋다.

 27일 질병관리청과 의료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11월까지는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같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기승을 부리는 시기다.

 실제 최근 3년간 쯔쯔가무시증과 SFTS 환자의 74.3%는 가을철(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된다.

 감염되면 보통 10일 이내에 두통, 발열, 발진,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검은 딱지처럼 보이는 '가피'가 생기는 게 특징이다.

 사람에 따라 잠복기가 짧게는 6일, 길게는 18일에 달하기도 하므로 야외활동을 한 적이 있다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고 벌레에게 물린 흔적이 있는지 살피는 게 좋다.

 쯔쯔가무시증은 항생제 치료 효과가 좋은 편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뇌수막염, 폐렴, 신부전과 같은 중증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도 있다.

 배지윤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치료받으면 회복과 완치가 가능하지만, 증상을 단순한 감기몸살로 착각해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후 털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발견되거나 열흘 안에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FTS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한다. 진드기에게 물린 후 5∼14일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18.5%로 높아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은 무엇보다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게 최선이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반드시 긴 소매와 긴 바지, 양말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도 좋다.

 외출 후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곧바로 샤워해 피부에 진드기가 붙어있지는 않은 지 확인하고, 착용했던 작업복이나 속옷, 양말 등을 즉시 세탁해야 한다.

 유행 시기에는 갑작스러운 발열이 나타나면 반드시 진드기 물린 자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원제약, 급성기관지염 치료제 코대원플러스정 품목 허가
대원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급성기관지염 치료제인 '코대원플러스정'의 품목허가를 승인받았다고 30일 밝혔다. 코대원플러스정은 진해거담제 '코대원정'에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11% 에탄올건조엑스 성분을 결합한 복합제다. 생약 성분인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는 급성 기관지염 치료에 쓰이며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 코대원플러스정은 기존 코대원정의 4가지 성분인 디히드로코데인타르타르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dl-메틸에페드린염산염, 구아이페네신도 함유하고 있다. 각 성분은 기침 억제, 항히스타민, 기관지 확장, 거담 작용을 담당한다. 대원제약은 코대원플러스정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정성 평가를 위해 작년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했다. 고려대 구로병원 등 8개 병원에서 총 273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시험은 기존 자사 제품 대비 증상 완화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도록 설계됐다. 그 결과, 기관지염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BSS 총점 변화량에서 각각 대조군 대비 코대원플러스정의 우월성을 입증했으며 BSS 변화율, 치료반응률, 치료유효율, 치료 만족도 등에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안전성 역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