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기승정·최현우 교수팀, 국제학회서 우수학술상

 전남대학교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기승정·최현우 교수팀이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린 '2023 AACC(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Chemistry) 학술대회'에서 임상진단면역분과 우수학술상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올해로 74회를 맞은 AACC 학술대회는 미국 임상화학회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 진단검사 분야 학술대회이자 박람회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총 780여건의 논문초록이 제출됐으며, 임상진단면역분과로 제출된 140여건 중 3건이 우수학술상으로 선정돼 연구내용을 발표했다.

 기승정·최현우 교수팀은 자가면역질환의 선별검사로 시행되는 항핵항체(ANA), 간접면역형광항체검사법(IFA)에서 관찰되는 'DFS(Dense Fine Speckled)' 패턴과 관련 항체인 'anti-DFS70' 항체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기승정·최현우 교수팀은 현재 국제 표준명명법을 기반으로 한 ANA, IFA 패턴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관련 검사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증 아토피 피부염에 면역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권장"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면역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가 권장할 만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질환이다. 바르는 약으로 호전이 안 될 정도의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는 사이클로스포린,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면역 조절제가 사용된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피부과학 연구소 소아 피부과 전문의 크라스텐 플로르 교수 연구팀이 영국과 아일랜드의 13개 의료센터에서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아이들과 청소년 103명(2~16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미국 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52명에게는 사이클로스포린, 51명에게는 메토트렉세이트가 9개월 동안 경구 투여됐다. 치료가 계속되는 9개월 동안은 증상 호전의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가 끝난 후 6개월까지 경과를 추적 관찰했다. 치료 시작 12주까지는 사이클로스포린이 메토트렉세이트보다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증상의 중증도도 더 좋아졌다. 그러나 치료비용이 상당히 더 들었다. 메토트렉세이트는 12주 이후와 치료가 끝난 후 객관적인 증상 억제가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