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일정](7일·목)

[오늘의 주요 일정](7일·목)
[정치]
▲ 대통령
    인도네시아 순방
▲ 국무총리
    대정부질문(14:00 국회)
▲ 국회
    본회의(14:00 본회의장)
    교육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09:00 본관 522호)
    국토교통위원회 전체 회의(10:00 본관 529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 회의(10:00 본관 534호)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결산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638호)
    정보위원회 전체 회의(13:30 본관 647호)
    대법원장(이균용) 임명 동의에 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전체 회의(13:30 본관 245호)
▲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윤재옥 원내대표, 2030부산세계박람회 준비현황 브리핑 및 개최 부지 점검(10:00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 하늘정원, 부산 동구 충장대로 206, 5층)
    김기현 당 대표·윤재옥 원내대표, 부산 현장 최고위원회의(10:30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 콘퍼런스홀 D,  부산 동구 충장대로 206, 5층)
    김기현 당 대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염원 시민단체 오찬 간담회(12:00 소소횟집, 부산 부산진구 서면문화로 23)
    김기현 당 대표, 부산 금융경쟁력 제고 대책 마련을 위한 현장간담회(13:30 부산국제금융센터, 부산 남구 문현금융로 40, 53층)
    김기현 당 대표, 대정부질문(경제)(14:00 국회 본회의장)
    윤재옥 원내대표, <대선 공작 게이트> 긴급 대책회의(16:30 국회 본관 228호)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박광온 원내대표, 대정부질문(경제)(14:00 국회 본청 본회의장)
    이재명 당 대표, 제5차 윤석열 정권 폭정 저지·민주주의 회복 촛불 문화제(19:00 국회 본청 앞 계단)
    박광온 원내대표, 제주 예산정책협의회(10:10 제주도청 탐라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
    박광온 원내대표, 윤석열 정부 새만금 SOC 예산 삭감 규탄대회(17:00 국회 본청 앞 계단)
▲ 정의당
    이정미 대표·배진교 원내대표, 제84차 현장 상무집행위원회 회의(09:30 정의당 권수정 강서구청장 후보 선거사무실, 서울 강서구 마곡동 794 1101호)
    배진교 원내대표, 본회의(14:00 국회 본회의장)

[외교안보]
▲ 박진 외교부 장관, 인도네시아·인도 출장(∼10일)
▲ 국방부, 항공무기체계 기술 발전세미나(10:30)

[경제]
▲ 기재부,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10:00 국회)
▲ 공정위·금융위·기재부, 국회 대정부질문(14:00 국회) 

[산업]
▲ 중소벤처기업부, 저스틴 록펠러(록펠러브라더스펀드 이사, The Impact 의장) 면담(10:00 기술보증기금 서울사무소 회의실, 영등포 63로 50, 42층)
▲ 중소벤처기업부, 예결위 결산소위(10:00 국회)
▲ 중소벤처기업부, 대정부질문(경제 분야)(14:00 국회)
▲ 국토부, 국토위 전체 회의(10:00 국회)
▲ 산업부, 대정부 질문(14:00 국회)
▲ 산업부, 예결위 소위(10:00 국회)   
▲ 정황근 농림장관, 국외 출장(∼9일, 인도네시아)
▲ 농식품부, 대정부 질의(14:00 국회)
▲ 해수부, 대정부 질의(14:00 국회)
▲ 해수부, 언론브리핑(11:00 서울) 

[테크]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국외 출장(∼9일)
▲ 과기정통부, 국회 대정부 질의(14:00 국회)
▲ 과기정통부, 젊은 과학자 자문위원회(14:00 서울 달개비)
▲ 과기정통부, 글로벌 디지털 혁신 네트워크 출범식(17:00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 제183회 원자력안전위원회(10:30 원자력안전위원회)
▲ 방통위, 재난 대응 안전 한국 훈련(14:00 종합상황실)
▲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모바일 360 APAC 콘퍼런스(09:45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사회]
▲ '고소장 위조' 윤혜령 전 부산지검 검사 1심 선고(10:00 서울중앙지법 519호)
▲ 서부지법, '스포츠센터 막대기 살인' 유족, 가해자 상대 9억 손배소 선고기일(14:00 418호)
▲ 서울시청, 재난 대응 안전한국 훈련(14:40 올림픽 핸드볼경기장, 송파구 올림픽로 424)

[정책사회]
▲ 행안부, 안전 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제12차 점검 회의(10:00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
▲ 행안부, 청년 공감 토크(11:30 정부세종청사 15층)
▲ 행안부, 출입 기자 간담회(14:00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
▲ 행안부, 직원 특강(16:00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대강당)
▲ 행안부 대변인, 출입 기자 간담회(14:00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
▲ 행안부 대변인, 장관님 주재 직원 특강(16:00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대강당)
▲ 여가부, 세계 한민족여성네트워크 대회(18:30 부산 파라다이스호텔)
▲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 차관회의(08:00 서울청사)
▲ 노동부, 직장 내 괴롭힘 근절을 위한 간담회(14:30 서울고용노동청)
▲ 노동부, 예산위 결산 소위(10:00 국회)
▲ 환경부, 푸른 하늘의 날 기념식(14:00 63빌딩)
▲ 교육부, 교육위 법안소위(09:00 국회)
▲ 교육부, 일본 문부과학상 면담(09:00 신라호텔)
▲ 교육부, 늘봄학교 및 체육·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14:30 정부서울청사)
▲ 복지부, 예결위 결산소위(10:00 국회)
▲ 복지부,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11:00 마포가든호텔)

[문화]
▲ 문체부, 2023 불교중앙박물관 특별전 '백암산 백양사' 전시 개막식(15:00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 문체부, 한중일 문화장관회의(시작)(15:50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 문체부, 2023 한중일 예술제 행사(18:10 전북예술회관)

[경기]
▲ 신봉수 신임 수원지검장 취임식(오후, 수원지검)

[경기북부]
▲ 가평군-김포시 자매결연 체결(11:30 가평군)

[강원]
▲ 시장군수협의회 정례회(11:00 태백시청)
▲ 춘천영화제 개막(11:00  춘천 아울러)
▲ 정진우 신임 춘천지검장 취임식(10:00 춘천지검)
▲ 강원 지방시대위원회 출범식(14:00 도청본관 소회의실)

[충북]
▲ 타이베이 신규 국제 정기노선 취항식(08:00 청주국제공항)
▲ 제36회 지용제 개막(옥천 정지용 문학관 일원)

[대전충남]
▲ 대덕특구 K켄달스퀘어 조성사업 브리핑(11:00 대전시청)
▲ 충남 장애인체육대회 개막(19:30 보령종합운동장)

[대구경북]
▲ 시장·군수·구청장 정책회의(15:00 대구시청 산격청사 대회의실)

[전북]
▲ 전주-완주 상생 협약식(17:00 도청)

[광주전남]
▲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시관 공식 개관(09:00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 제24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14:00 5·18 민주광장)
▲ 광주대 비전 선포식(15:30 광주대 호심관)

[부산]   
▲ 부산 금융 경쟁력 제고 대책 마련 현장 간담회(13:30 BIFC) 
▲ 부산 스타트업 축제 '바운스(BOUNCE) 2023' 개막식(11:40 아스티호텔) 

[경남]
▲ 동부경남 발전 선도 15대 프로젝트 브리핑(11:00 도청 프레스센터)
▲ 제18회 함양산삼축제 개막식(19:00 함양 상림공원)

[울산]
▲ 울산시 이차전지 특화단지 투자기업 간담회(14:00 경제부시장실)

[제주]
▲ 제주도-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10:20 제주도청)
▲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 토론회(16:00 제주도의회)

[국제](현지시간)
▲ 바이든 대통령, G20 정상회의 참석차 인도로 출국        
▲ [브뤼셀] 빅터 차, 英 전문가와 브뤼셀서 특별포럼(19:00)
▲ [브뤼셀] 나토 사무총장, 유럽의회 외교·국방위 참석 / 네덜란드 외교부 장관 접견 / 코소보 대통령 접견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인도네시아·인도 방문(11일까지)
▲ 달 탐사선 탑재 H2A 로켓 47호기 발사(8:42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중국 외교부 브리핑(15:00 중국 외교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