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마글루티드, 1형 당뇨병 초기 치료에도 효과"

 2형 당뇨병 치료제 세마글루티드(제품명: 오젬픽)가 1형 당뇨병 초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을 활용하는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지만 1형 당뇨병은 이와는 달리 면역체계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공격, 인슐린이 아주 적게 혹은 거의 생산되지 않아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환자는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미국 뉴욕 주립대학 의대 내분비내과 전문의 파레쉬 단도나 박사 연구팀이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지 3개월이 안 된 성인 환자 10명(21~39세, 여성 5명, 평균 BMI 25.1)을 대상으로 진행한 예비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4명은 진단 때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있었고 나머지는 다뇨증, 다음증, 체중 감소 증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이와는 다른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즉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지 얼마 안 된 환자에게 세마글루티드를 인슐린 대신 사용할 수 없겠느냐는 것이다.

 1형 당뇨병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는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아직은 다소 남아 있는 상태인 만큼 인슐린 필요가 그리 크지 않다. 이를 1형 당뇨병의 '밀월기'(honeymoon phase)라고 한다.

 연구팀은 바로 이때 세마글루티드를 투여하면 베타 세포의 기능을 어느 정도 개선해 인슐린 주사를 중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세마글루티드는 혈당이 올라갈 때 베타 세포를 도와 보다 많은 인슐린을 만들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에 간(肝)에서 너무 많은 당이 분비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지 3개월이 안 된 성인 환자 10명에게 처음엔 혈당이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매우 낮은 용량(0.125mg)의 세마글루티드를 매주 한 번씩 주사했다.

 그러다가 세마글루티드 용량을 최대 0.5mg까지 서서히 올리면서 동시에 식후 인슐린 주사의 용량을 그에 맞게 줄였다.

 그러자 6개월이 되기 전에 10명 모두가 식사 때 인슐린 주사를 끊을 수 있었다. 7명은 지속형 인슐린 주사도 끊었다.

 이러한 상태는 1년 후까지 지속됐다.

 1년 후 장기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 수치는 목표 범위보다 훨씬 낮은 6%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1형 당뇨병 연구를 지원하는 1형 당뇨병 연구 재단(JDRF)의 조시 비에트 연구실장은 1형 당뇨병 초기 '밀월기'의 연장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기대되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환자의 베타 세포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는 이론적인 단점이 있으며 이것이 장기에 걸쳐 베타 세포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문제라면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비에트 실장은 강조했다.

 이는 불과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세마글루티드는 장기 지속형(long-acting)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길항제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해 혈당을 떨어뜨린다. 2017년 12월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2형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한 모금쯤이야?…어릴 때 술 접하면 알코올 사용장애 위험 4배↑
15세 이전에 술을 처음 마신 사람은 성인이 된 후에 음주를 시작한 사람보다 알코올 중독 등 음주 관련 문제를 겪을 확률이 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에 대해 관대한 주변 어른의 태도와 인식은 어린이의 음주 시기를 앞당길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어린이 앞에선 술을 마시지 말고, 어린이에게는 소량의 술도 권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국립암센터는 최근 이런 연구 결과를 담은 '어린이·청소년 음주 예방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우리나라는 어른과 함께라면 미성년자라도 술 한잔 정도는 마셔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실제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부모나 친척 등 주변 어른으로부터 술을 권유받은 적이 있었다. '한 잔쯤은 괜찮다'라며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린 나이에 술을 조금이라도 마셔본 아이는 조기에 음주에 빠지거나 성인이 되기 전부터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마실 위험이 크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보면 작년 기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술을 마셔본 적이 있었고, 최근 한 달 이내 술을 마신 학생 4명 중 1명은 초등학교 또는 그 이전에 처음 술을 접했다고 답했다. 이런 습관은 성인이 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