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사 소득, 근로자 평균의 최대 6.8배…OECD 중 격차 1위

소득 증가율도 평균 이상…OECD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 통계
한국, 수도권에도 의사 적어…여성 의사 비중 꼴찌 수준

 한국 의사의 소득이 전체 노동자의 평균 임금보다 최대 7배 가까이 많아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보다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 수는 하위권으로, 수도권을 기준으로 봐도 다른 나라보다 적은 편이었다.

 ◇ 개원 전문의, 노동자 평균의 6.8배 벌어…격차 OECD 1위

 12일 OECD가 최근 공개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Health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의사의 연평균 총소득은 고용 형태와 일반의, 전문의 등의 기준에 따라 전체 노동자보다 2.1∼6.8배 많았다.

 다만 한국의 경우 의사가 다른 노동자들보다 유난히 많은 소득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개원의가 봉직의보다, 전문의가 일반의보다 임금이 더 많았다.

 전체 노동자 평균 임금 대비 한국 의사의 소득은 봉직 일반의가 2.1배, 개원 일반의가 3.0배, 봉직 전문의가 4.4배 많았다.

 특히 개원 전문의는 노동자 평균보다 6.8배 더 많은 수입을 올려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2011∼2021년 한국 의사의 연간 실질 보수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 2.6%, 전문의 2.8%였다. OECD 23개국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1.8% 수준이다.

노동자 평균 임금 대비 의사 보수 비율(2021년)

 ◇ 한국 의사 수 OECD 하위권…수도권·지방 모두 평균 이하

 OECD 회원국에서 활동하는 의사는 2011년 350만 명에서 2021년 430만 명으로 늘었다.

 모든 OECD 국가에서 의사 수가 인구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 1천명당 평균 의사 수는 같은 기간 3.2명에서 3.7명으로 늘었다.

 한국에서도 의사 수는 2.0명에서 2.6명으로 늘었다. 다만 여전히 OECD 평균(3.7명)에 못 미치고, 심지어 2011년 평균(3.2명)보다도 적다.

 의사의 대도시 쏠림 현상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한국에서도 의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과 함께, 의사들이 지방에서 일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지역별 의사 밀도는 수도권을 포함한 모든 곳에서 상대적으로 적었다. 수도권 쏠림이 아닌, 의사 수 부족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는 이유다.

 서울 등 수도권의 2021년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2.73명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았지만, OECD 14개국 도시 지역 평균 의사 수(4.5명)보다 적고, 농촌 지역 평균 의사 수(3.2명)에도 못 미쳤다.

 각국 주요 도시의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체코 프라하(7.72명), 오스트리아 빈(7.04명), 미국 워싱턴DC(6.56명), 독일 함부르크(6.40명), 덴마크 코펜하겐 지역(5.14명), 벨기에 브뤼셀(4.09명), 튀르키예 앙카라(3.67명), 멕시코 멕시코시티(3.03명) 등으로 한국 수도권보다 많았다.

 한국의 여성 의사 비중은 전체의 25%로 일본(23%)에 이어 뒤에서 두 번째였다. 55세 이상 의사는  전체의 26%로 OECD 평균(33%)보다 적었다.

국가별 지역 간 인구 1천명당 의사 밀도(2021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차세대 약물 전달체 '엑소좀'…진단·화장품 등 잠재력 무궁무
새로운 방식의 신약이 등장하면서 약물을 필요한 곳에 정확히 배달하기 위한 전달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세포에서 유래한 천연 전달체인 '엑소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엑소좀은 세포가 외부로 분비한 '세포 외 소포'의 한 종류로, 크기는 50~150㎚(나노미터) 정도이다. 인체 내 대부분 세포가 엑소좀을 분비하며 침이나 소변 등 체액에서도 엑소좀이 발견된다고 알려졌다. 소포는 자신이 떨어져나온 세포의 구성 성분과 동일한 핵산, 단백질, 지질 등을 함유한다. 소포가 다른 세포에 흡수되면, 소포는 보유한 내용물을 방출해 자신이 유래한 세포의 정보를 전달하며 세포 간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특성을 이용해 엑소좀에 약물이나 단백질을 추가하면 높은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다. 엑소좀은 세포막과 유사한 구조라 생체 조직을 잘 통과할 수 있어 목표로 하는 세포에 약물을 정확히 배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BACE-1이라는 단백질의 활성을 막는 치료제를 엑소좀에 넣어 몸 안에 투여하면, 이 엑소좀이 BACE-1의 활성과 관련 있는 뇌의 신경세포 등으로 이동해 BACE-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전달체로서뿐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