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63%…정신장애인 43%로 '최하'

2021년 장애인 건강보건통계…장애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 4년 새 150만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50%대로 떨어졌던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2021년에 60%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립재활원의 최근 공개한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대상자 119만3천333명 중 75만2천157명이 건강검진을 받아 수검률은 63.0%였다.

 수검률은 2016년 64.8%, 2017년 64.9%, 2018년 63.7%, 2019년 64.6%로 줄곧 60%대를 유지하다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유행한 2020년 57.9%로 하락했는데, 2021년에 다시 60%대로 올라선 것이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안면장애인의 일반 건강검진 수검률은 73.5%로 가장 높았고, 지체장애 70.6%, 시각장애 68.1%, 청각장애 62.0%, 간장애 61.5% 등이 뒤를 이었다.

 정신장애인의 수검률은 42.7%로 제일 낮았다.

 시도별 수검률은 세종이 68.4%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58.5%로 제일 낮았다. 서울은 61.1%였다.

2016∼2021 건강검진종별 수검률 현황

 2021년 일반 건강검진을 한 장애인 중 정상 판정을 받은 비율은 18.9%로 전년도(19.7%)보다 0.8%포인트 줄었다.

 유질환자는 36만7천868명(48.9%)이었고, 80대 70.2%, 70대 68.0%, 60대 55.0% 등 연령이 높을수록 유질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장애인의 다빈도 질환 상위 20개 중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이 5개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기관 입·내원일수는 54.8일이었다. 신장장애인이 147.0일, 정신장애인 126.6일, 뇌병변 장애인 96.4일 순으로 많았다.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692만4천원이었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신장장애가 3천155만3천원으로 다른 유형보다 월등히 높았고, 간 장애(1천854만원), 심장장애(1천482만8천원), 뇌병변장애(1천305만2천원)가 뒤를 이었다.

 65세 이상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788만7천원으로, 2017년(637만8천원)보다 150만원 이상 늘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