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63%…정신장애인 43%로 '최하'

2021년 장애인 건강보건통계…장애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 4년 새 150만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50%대로 떨어졌던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2021년에 60%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립재활원의 최근 공개한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대상자 119만3천333명 중 75만2천157명이 건강검진을 받아 수검률은 63.0%였다.

 수검률은 2016년 64.8%, 2017년 64.9%, 2018년 63.7%, 2019년 64.6%로 줄곧 60%대를 유지하다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유행한 2020년 57.9%로 하락했는데, 2021년에 다시 60%대로 올라선 것이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안면장애인의 일반 건강검진 수검률은 73.5%로 가장 높았고, 지체장애 70.6%, 시각장애 68.1%, 청각장애 62.0%, 간장애 61.5% 등이 뒤를 이었다.

 정신장애인의 수검률은 42.7%로 제일 낮았다.

 시도별 수검률은 세종이 68.4%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58.5%로 제일 낮았다. 서울은 61.1%였다.

2016∼2021 건강검진종별 수검률 현황

 2021년 일반 건강검진을 한 장애인 중 정상 판정을 받은 비율은 18.9%로 전년도(19.7%)보다 0.8%포인트 줄었다.

 유질환자는 36만7천868명(48.9%)이었고, 80대 70.2%, 70대 68.0%, 60대 55.0% 등 연령이 높을수록 유질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장애인의 다빈도 질환 상위 20개 중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이 5개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기관 입·내원일수는 54.8일이었다. 신장장애인이 147.0일, 정신장애인 126.6일, 뇌병변 장애인 96.4일 순으로 많았다.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692만4천원이었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신장장애가 3천155만3천원으로 다른 유형보다 월등히 높았고, 간 장애(1천854만원), 심장장애(1천482만8천원), 뇌병변장애(1천305만2천원)가 뒤를 이었다.

 65세 이상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788만7천원으로, 2017년(637만8천원)보다 150만원 이상 늘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실태를 분석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가지 세균에 효과를 가진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정상 세균까지 공격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진행암 말기 환자는 실제 감염이 없어도 발열이나 염증 수치만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 고강도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임종 전 6개월간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55.9%가 이러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시기를 ▲ 임종 직전 1주 ▲ 임종 직전 1~2주 ▲ 임종 직전 2주~1개월 ▲ 임종 직전 1개월~3개월 ▲ 임종 직전 3개월~6개월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광범위 항생제 사용률은 임종 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