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 세균 등 병원체자원 8천626주 확보…2020년의 3배 규모

질병청, 병원체자원관리 시행계획 공표…올해 1만3천주 확보 목표

 지난해 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 등재된 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 자원이 2020년 대비 약 3배 규모로 늘어난 8천626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은 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2025년 병원체자원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했다며 이 같은 수치를 최근 공개했다.

 병원체자원이란 보건의료 연구나 산업을 위해 실제적 혹은 잠재적인 가치가 있는 자원 등을 뜻한다.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진균, 바이러스 등이다.

 질병청은 올해까지 병원체자원 1만3천주를 등재하고, 연간 4천주를 분양한다는 목표로 종합계획을 만들었고, 매년 시행계획을 발표해왔다.

 종합계획 수립·시행에 따라 국가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 자원은 2020년 약 3천주에서 지난해 말 기준 8천626주로 18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간 자원 분양 건수는 1천400주에서 2천948주로 111% 늘었다.

 질병청은 올해 시행계획에서도 유용한 병원체자원을 확보하고 보존·관리하는 역량을 제고하는 데 집중한다고 밝혔다.

 병원체자원의 분양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업무절차를 개선하고, 국내외 병원체자원은행과의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병원체자원 수집·관리 및 활용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도 개설해 운영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세종여주병원 지역외상협력병원 지정…경기도내 9번째
경기도는 세종여주병원(여주시 하동)을 도내 9번째 지역외상협력병원으로 지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2021년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과 파주병원이, 2023년에는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과 안성병원, 연천군보건의료원, 화성디에스병원, 화성중앙종합병원, 양평병원이 지역외상협력병원으로 지정됐다. 지역외상협력병원은 중증외상환자가 원거리 이송 중 사망하지 않도록 기도 유지 등 긴급 처치 후에 헬기나 구급차로 환자를 권역외상센터에 옮기는 역할을 한다. 중증외상 전문치료센터인 권역외상센터는 수원 아주대병원과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등 경기 남·북부 지역에 1곳씩 운영 중이다. 지난 3일 파주시 금촌동 도로에서 트럭이 4m 아래로 추락하며 운전자가 구강 내 다량의 출혈로 기도 폐쇄 위험에 처했는데 헬기로 지역외상협력병원(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으로 이송돼 신속히 기도 확보 처치를 받은 데 이어 외상전담전문의가 헬기에 탑승해 권역외상센터(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로 옮겨 운전자가 안정을 되찾기도 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지역외상협력병원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기도가 마련한 지역외상 대응체계이자 도민 생명을 지키는 최전선"이라며 "광주와 평택 지역에 지역외상협력병원을 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