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약국 97%, 수급 불안정한 의약품 3개 이상"

 전국 약국의 97%에서 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 품목이 3개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대한약사회는 의약품 수급 불안정 동향과 의약품 균등 공급 정책에 대한 약사 여론을 확인하고자 지난달 20~22일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균등 공급 사업은 약사회가 제약사, 유통협회 등과 협력해 의약품 증산량의 일정 비율을 부족을 호소하는 약국에 우선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제도다.

 전국 개국 약사 회원 2만2천535명 가운데 2천790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7~10개'라고 답한 응답자와 '3~6개'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844명과 835명으로 약 30%씩을 차지했다.

 의약품 균등 공급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선 36%(1천21명)의 응답자가 '별로 도움 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라는 답변은 27%(742명), '그렇다'고 답변한 비율은 23%(632명)이었다.

 약사회는 불만족 이유의 대부분은 균등 공급 의약품의 수량이 적기 때문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을 지속하는 것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84%(2천333명)가 지속하되, 품목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균등 공급이 필요한 제품 1순위로는 코감기약인 슈도에페드린 제제를 꼽은 사람이 31%(855명)로 가장 많았다. 골관절염 치료제 이모튼(21%), 변비 치료제 듀락칸이지(1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수급 불안정의 해결책으로 의약품 처방 일수와 수량을 제한하는 데에는 83%(2천318명)의 약사가 찬성했으며, 70%(1천961명)의 약사가 1인당 장기 처방 일수를 60일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처방 일수 제한에 앞서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알림 등을 통해 품절 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데에도 84%(2천352명)의 약사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특별한 사유 없이 처방전에 동일 성분 조제가 불가하다고 기재하는 병·의원이 있냐는 질문에는 38%(1천56명)의 약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동일 성분 조제는 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을 같은 성분의 다른 품목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해 수급 불안정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한약사회는 "최초 수급 불안정 의약품 발생 시 일차적으로 DUR을 통해 병·의원에 알리고, 그런데도 해소가 되지 않는 경우 처방 제한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며 "유통에서도 특정 요양기관에 공급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기적인 공급 방안이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약품 수급 불안정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공급 부족"이라며 "제약사 생산 동기를 올려주고,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해 필수 의약품 생산을 강제하는 제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