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동결 뇌조직 부활"…소설 '삼체' 현실화?

中연구팀, 뇌 인공 장기유사체 실험…"특정 화합물이 뇌세포 사멸 유발 경로 방해"

 중국 상하이 푸단대 연구팀이 18개월간 동결한 인간의 뇌 조직을 손상 없이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중국보 등 현지 매체들이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푸단대 샤오즈청(邵志成)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해 3주에 걸쳐 다양한 유형의 뇌세포로 발전할 수 있는 뇌 오르가노이드(인공 장기유사체)를 배양했다.

 연구팀은 4주부터 3개월까지 다양한 기간 배양한 오르가노이드를 화합물에 담가 최소 48시간 동결한 다음 해동한 뒤 생장과 세포 사멸을 관찰했다.

 냉동은 유기물 부패 방지에 효과적이지만, 이 과정에서 얼음 결정이 세포를 손상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돼왔다.

 실제로 연구팀은 간질을 앓는 생후 9개월 여아로부터 뇌 조직 3㎣를 추출해 메디를 사용해 동결 및 해동했더니 뇌 조직이 최소 2주 동안 활성 상태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메디가 일반적으로 뇌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경로를 방해한다고 믿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메소드(Cell Reports Methods)에 실렸다.

 중국 네티즌들은 우스갯소리로 연구 성과가 넷플릭스 드라마로도 제작된 중국 작가 류츠신의 소설 '삼체' 내용과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삼체에는 주인공 한 명의 뇌가 냉동돼 우주로 발사됐다가 부활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객실 양쪽 끝 2~4도 차이":…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냉방 팁 공개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 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는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열차가 혼잡하면 객실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혼잡도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소소한 팁이라고 공사는 전했다. 한편 열차 승무원들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로 냉난방 불편 민원이 크게 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전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