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큼 찾아온 무더위에 말벌 활동 왕성…소방 "수칙 준수" 당부

강원서 최근 5년간 3천308건…"검은 옷 착용·화장품 사용 자제"

 올해 여름철이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벌 쏘임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벌 쏘임 사고 출동 건수는 2019년 649건, 2020년 471건, 2021년 553건, 2022년 828건, 2023년 807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명피해는 7∼9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이 기간에 출동 건수는 2천871건으로 총 2천696명의 환자가 병원으로 옮겨졌다.

 환자 증상은 어지럼 증세가 9.8%로 가장 많았으며, 호흡곤란(7%), 두통(5.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5년간 13명이 벌 쏘임으로 인한 심정지 증세를 보여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를 실시하기도 했다.

 사고 발생 장소로는 총 3천308건 중 집이 1천283건(38.8%)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2천396명(72.4%)으로 여성 1천61명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60대가 1천23명(29.1%)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소방은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검은색 계통의 어두운 옷은 피하고 밝은색 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고 당부한다.

 또 화장품 등 벌을 자극할 수 있는 용품의 사용은 자제하고, 벌집 근처에서 벌과 접촉할 경우 낮은 자세로 머리를 감싸고 재빨리 20m 이상 이동해야 한다.

 박계형 119종합상황실장은 "최근 무더위로 인해 말벌 등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있다"며 "벌 쏘임 예방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사고 발생 시 즉각 119로 도움을 요청해달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수술만 답 아니다"…'추나·침'에 주목하는 메이요클리닉
허리가 아파 오래 걷지 못하고, 엉덩이와 다리로 저릿한 통증이 뻗어나간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을 의심해야 한다. 척추뼈가 제자리에서 앞으로 밀려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한 허리 협착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 전방전위증을 동반한다. 보통 이런 전방전위증에는 신경주사로 통증을 완화하거나, 불안정해진 척추뼈를 나사로 고정하는 척추유합술이 권유된다. 하지만 이 같은 통념에 변화를 줄 만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내 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이 공동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추나와 침 치료를 중심으로 한 한방치료가 신경주사나 진통제 같은 양방 치료보다 허리·다리 통증 완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번 연구는 모커리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 통증센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11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2017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년 이상 진행됐고, 준비기간을 포함하면 꼬박 10년이 걸린 대규모 프로젝트다. 연구팀은 총 115명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대상으로 58명에게는 이완추나와 침치료, 생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