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큼 찾아온 무더위에 말벌 활동 왕성…소방 "수칙 준수" 당부

강원서 최근 5년간 3천308건…"검은 옷 착용·화장품 사용 자제"

 올해 여름철이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벌 쏘임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벌 쏘임 사고 출동 건수는 2019년 649건, 2020년 471건, 2021년 553건, 2022년 828건, 2023년 807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명피해는 7∼9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이 기간에 출동 건수는 2천871건으로 총 2천696명의 환자가 병원으로 옮겨졌다.

 환자 증상은 어지럼 증세가 9.8%로 가장 많았으며, 호흡곤란(7%), 두통(5.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5년간 13명이 벌 쏘임으로 인한 심정지 증세를 보여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를 실시하기도 했다.

 사고 발생 장소로는 총 3천308건 중 집이 1천283건(38.8%)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2천396명(72.4%)으로 여성 1천61명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60대가 1천23명(29.1%)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소방은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검은색 계통의 어두운 옷은 피하고 밝은색 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고 당부한다.

 또 화장품 등 벌을 자극할 수 있는 용품의 사용은 자제하고, 벌집 근처에서 벌과 접촉할 경우 낮은 자세로 머리를 감싸고 재빨리 20m 이상 이동해야 한다.

 박계형 119종합상황실장은 "최근 무더위로 인해 말벌 등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있다"며 "벌 쏘임 예방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사고 발생 시 즉각 119로 도움을 요청해달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