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 발전과 성평등 높을수록 남성이 여성보다 고기 많이 먹어"

스위스 연구팀, 23개국 남녀 분석…"선택 자유 커지기 때문인 듯"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육류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사회의 성평등 수준은 육류 소비의 남녀 차이와도 관계가 있을까?

 성평등과 사회·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남성의 육류 소비 빈도가 여성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성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음식 선호도를 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스위스 취리히대 크리스토퍼 호프우드 교수팀은 15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남·북미, 유럽, 아시아 23개국 2만802명에 대한 설문 데이터와 성평등 및 경제·사회 발전 수준 등을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설문에서는 성별과 얼마나 자주 고기를 먹는지 등을 조사했고, 사회·경제 발전 수준은 기대수명, 학교 교육 기간, 국민총소득 등을 기준으로, 성평등 수준은 경제 참여, 교육 수준, 정치적 권한, 건강 및 생존 등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 남성과 여성의 육류 소비 차이는 양성평등과 사회·경제적 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더 큰 경향을 보였다. 남성과 여성 간 육류 소비 차이가 가장 큰 국가는 독일이었으며 다음은 아르헨티나, 폴란드, 영국 순이었다.

 중국과 인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육류 소비가 더 많았고 인도네시아는 성별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평등과 사회·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남녀 모두 고기를 더 자주 먹는 경향이 있었고, 국가별 육류 소비는 태국과 중국, 미국 스페인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성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은 육류를 덜 먹는 선택을 더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사회·경제 발전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은 고기를 더 자주 먹고 구매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또 이 연구 결과는 사회·경제 발전 수준이 다른 국가에서 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육류 소비를 줄이도록 장려할 때 다른 전략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개발 수준이 높은 국가에서는 소비자들에게 식물성 대체육이나 배양육 소비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게 효과적일 수 있고, 개발 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식물성 대체육 또는 배양육 생산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게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Christopher Hopwood et al., 'Paradoxical gender effects in meat consumption across cultur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4-62511-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객실 양쪽 끝 2~4도 차이":…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냉방 팁 공개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 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는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열차가 혼잡하면 객실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혼잡도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소소한 팁이라고 공사는 전했다. 한편 열차 승무원들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로 냉난방 불편 민원이 크게 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전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