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AI·개발 플랫폼 활용…외국 제약사와의 제휴도 증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생산 공정 개발 및 전임상 분석 협력, 공동 연구 성과에 따른 추가 임상 논의를 진행한다.

 한미약품도 바이오 벤처 아이젠사이언스와 인공지능(AI) 기반 항암제 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아이젠사이언스가 AI 플랫폼을 통해 항암 후보 물질을 발굴하면 한미약품이 자사 연구개발(R&D) 역량을 활용해 해당 물질의 도입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협력이 이뤄진다고 회사는 전했다.

 해외 기업과의 협업도 활발하다.

 신라젠은 미국 생명공학 기업 큐리에이터와 항암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PD-1 계열 면역항암제와 신라젠이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로부터 도입한 항암제 'BAL0891' 병용요법을 3D 종양 면역 미세환경 모델에서 평가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도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일레븐 테라퓨틱스와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 기업은 일레븐이 보유한 플랫폼 기술 '테라'(TERA)를 활용, 섬유증 질환용 RNA 치료제 발굴에 힘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질병의 수는 많은데 개별 기업의 인력, 신약 후보 물질, 플랫폼 기술 등 자원은 한정적"이라며 "기업 간 협업은 신약 개발이라는 목표를 향한 수단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 등 압박이 늘고 있는 만큼 제약업계 협업 모델은 점점 더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