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 돌연변이 세포로도 뇌전증 유발…KAIST 치료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0.1% 이하의 극미량 돌연변이(모자이시즘·Mosaicism) 신경세포로도 뇌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브레인'(Brain)'에 지난달 25일 자에 실렸다.

 뇌를 비롯한 신체 모든 기관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몇 개의 신경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야 뇌신경 회로에 문제가 생기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은 뇌세포에 어느 정도의 모자이시즘이 누적돼야 뇌 기능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을 유발한 동물 모델과 뇌전증 환자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했다.

 난치성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에만 특이하게 발현하는 체성 모자이시즘(생식 유전변이와 달리 수정 후 발생하는 체세포 유전변이)에 의해 일어난다.

 연구팀이 실험용 쥐의 뇌 조직에 뇌전증 유발 체성 모자이시즘을 최소 수백, 최대 수만 개의 세포에 유발한 결과 8천∼9천 개 수준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생길 때부터 실험용 쥐가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난치성 뇌전증 환자 뇌 조직을 대상으로 대용량 유전정보 증폭 시퀀싱(유전자를 증폭시킨 뒤 DNA의 염기서열 순서를 분석하는 기술)을 통해 변이 모자이시즘 비율이 최소 0.07%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

 소아 난치성 뇌전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국소 피질이형성증'(대뇌 피질에 국소적으로  신경세포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 진단법 향상과 다양한 난치성 뇌 질환의 미세 돌연변이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교원 창업 기업인 소바젠은 이번 연구 성과를 이용해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체성 모자이시 즘 변이를 정밀 표적하는 RNA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의과학대학원 졸업생 의사 과학자이자 논문 제1 저자인 김진태 박사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의 정밀한 유전적 진단을 통해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빈자리 채우는' PA 간호사에 수당 지급…"보상 강화"
정부가 비상진료체계에서 전공의의 업무공백을 채우고 있는 '진료지원'(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에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는 등 보상을 강화한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말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진료지원간호사의 규모가 확대되고 업무량 및 업무난이도가 증가한 데 따라 이들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업무 공백이 커지자, 정부는 간호사들이 숙련도에 따라 응급환자 약물 투여, 수술 보조 등 일부 의사의 업무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전공의가 없는 병원에서 전문의와 진료지원간호사가 팀을 이뤄 업무를 맡는 경우가 많아졌고, 진료지원간호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애초 1만명 수준이었던 진료지원간호사는 최근에 1만3천여명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에 소속된 진료지원간호사에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하고, 최근 병원에 이러한 내용의 '진료지원간호사 지원사업'을 안내했다. 이로써 지난달 31일 기준 진료지원간호사로 병원에서 30일 이상 근무한 간호사는 근무 기간에 따라 최소 10만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마트폰과 SNS가 아이를 병들게 한다…신간 '불안 세대'
1980년대 이전의 미국 어린이는 놀이터에서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며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놀이기구를 즐겼다. 예를 들어 또래들이 힘을 모아 손잡이가 달린 원판형 기구를 돌리면 그 위에 타고 있는 친구들은 어지러운 기분을 즐기거나 매달리며 짜릿함을 느꼈다. 2010년대에는 이런 식의 놀이기구를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 눈에 보이는 안전은 개선됐지만 아이들이 다치지 않는 법을 터득할 기회는 줄어든다. 1996년 이후 태어난 이른바 Z세대의 경우 현실 세계에서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시간이 급격히 줄어든다. 이들이 사춘기에 접어들 무렵 고속 데이터 통신이 일반화되고 아이폰이 출시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2009년 '좋아요'나 '리트윗', 혹은 '공유' 버튼을 만들어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의 소통 방식을 확 바꿔놓았다. Z세대는 온라인에서 자신의 브랜드를 관리해야 하는 세대가 됐다. 친구나 인플루언서 게시물을 수시로 확인하고 비디오나 오락성 콘텐츠에 몰입한다. 이용자가 최대한 오래 머물게 디자인된 알고리듬이 어린이와 청소년이라도 예외로 두지는 않는다. 미국은 13세 미만이 계정을 만들 때 부모의 동의를 받도록 법제화했지만, 많은 아동이 가짜 생년월일을 입력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