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55%, '5분미만' 진료…평균 18분 기다려

2023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입원환자 절반만 당일 입원
입원환자 7명 중 1명은 개인·공동 간병인 고용…하루 12만원 1주일간 지불
만성질환자, 시골이 도시보다 많아…의료기관 만족도 90%대, 6년새 10%p 안팎↑

 작년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의사에게서 진료를 받는 시간이 5분이 채 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들은 접수 후 평균 18분 가량을 기다렸다가 8분간 진료를 받았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실시한 '2023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7월24일~9월22일 가구방문 방식으로 1만4천9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래서비스를 받은 응답자의 55.0%가 의사의 진료시간이 5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환자가 외래진료를 받기 위해 접수한 뒤 기다린 시간은 평균 17.9분이었다. 평균적으로 외래 환자가 17.9분을 기다려 8분간 진료를 받은 셈이다.

 대기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는 외래환자의 16.7%였고, 37.8%는 10~20분 미만, 26.3%는 20~30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30분 이상 대기한 경우는 19.2%였다.

환자 55%, '5분미만' 진료…평균 18분 기다렸다가 8분 진료받아 - 2

 입원 환자의 경우 평균 7.5일을 입원했는데, 48.1%가 예약 없이 당일 입원을 했다. 나머지 51.9%는 다른 날짜를 잡아서 입원했다. 전체 입원 환자의 41.3%가 원하는 날짜에 입원을 했고 10.6%는 원하는 날 입원을 하지 못해 평균 13.6일간 대기해야 했다.

 입원한 환자 중 27.1%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했는데, 만족도(만족했다는 응답)가 97.3%(대체로 만족, 매우 만족)로 상당히 높았다.

 입원 환자 중 개인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7.1%, 공동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6.6%였다.

 개인 간병인의 경우 평균 7.1일을 고용해 하루 평균 11만8천870원을, 공동 간병인은 평균 7일을 고용해 하루 평균 2만1천584원을 지불했다.

 비싼 비용을 들여 간병인을 고용했지만, 만족도는 개인 간병인의 경우 83.7%, 공동 간병인은 77.6%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보다 낮았다.

환자 55%, '5분미만' 진료…평균 18분 기다렸다가 8분 진료받아 - 3

 응답자의 76.7%는 한국의 보건의료제도를 신뢰한다고 답했고, 75.8%는 만족한다고 밝혔다.

 보건의료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9.9%였다. 이들 중 가장 많은 43.8%가 보건의료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자신의 건강 수준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경우나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만성질환 경험은 시골 지역 거주자가 도시 거주자보다 많았다.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은 동 지역 거주자의 경우 76.3%를 기록해 읍·면 거주자의 63.9%보다 높았다.

 지난 1년간 만성질환으로 진료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24.2%였는데, 이런 응답을 한 비율은 동 지역 거주자(22.5%)보다 읍·면 지역 거주자(32.1%)에게서 높았다.

 의료비용 부담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못한 경험은 1.4%, 치료를 받지 못한 경험은 2.1%, 검사를 받지 못한 경험은 2.4%였다.

 특히 여러 만성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 비용 부담으로 의료를 포기한 경우가 많았다. 2개 이상 만성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 의료비용 부담으로 인해 4.6%가 의료기관 방문을, 8.4%가 치료를, 8.3%가 검사를 각각 포기했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꾸준히 상승해 지난 6년 사이 10%포인트 안팍 높아졌다.

 담당 의사가 예의를 갖춰 대했다는 응답은 2017년 89.1%에서 2023년 95.5%로 상승했고, 담당 의사가 알기 쉽게 설명했다고 답한 비율은 2017년 80.0%에서 2023년 92.2%로 올라왔다.

 또 담당의사가 배려했는지에 대해서는 2017년 78.4%만 긍정적으로 답했던 것이 2023년에는 긍정적 답변 비율이 91.0%가 됐다.

 같은 기간 의료기관 이용시 편안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3%에서 94.5%로, 의료기관 내 행정 부서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대답 비율은 73.6%에서 92.3%로 각각 높아졌다.

 의료기관 서비스스 긍정적 경험 비율을 의료기관 유형별로 보면, 한방병의원 이용자가 95.6%로 가장 높았고 병원(92.2%), 치과병의원(91.6%), 의원(91.3%) 순이었다.

환자 55%, '5분미만' 진료…평균 18분 기다렸다가 8분 진료받아 - 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PA 합법화가 마냥 반갑지 않은 간호사들…"업무범위 줄여야"
"현장에서는 여전히 의사가 해야 하는 일들이 직무 기술이 없는 간호사들에게 마구 넘어오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환자 안전입니다."(현장 간호사 A씨) 간호사들의 숙원이었던 '간호법'이 지난달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대한간호협회(간협)는 "19년 만에 이뤄진 역사적 사건"이라며 환영했지만, 현장 간호사들은 이번 간호법안은 진료지원(PA) 간호사 합법화를 골자로 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간호사들은 의사의 업무가 간호사에게 과도하게 넘어오지 않도록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PA 간호사가 전문 인력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무 교육과 수련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전공의 이탈에 '대체 인력' PA 간호사, 합법적 지위 획득 간호법이 지난달 28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앞으로 PA 간호사가 합법적인 지위를 인정받게 된다. PA 간호사는 임상 현장에서 특수검사나 시술 등 의사의 업무 중 일부를 대신 수행하는 인력이다. 의료기관들은 외과 등 소위 필수의료과의 전공의 지원율 하락으로 의사 인력이 부족해지자, PA 간호사를 선발해 전공의 대체 인력으로 써왔고, PA 간호는 전국적으로 1만6천여 명에 이를 정도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과학자들 "살빼는 약 오젬픽·위고비, 노화도 늦춘다"
당뇨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체중감량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살빼는 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오젬픽과 위고비가 인체 노화도 늦춰 사망률을 낮춰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31일(현지시간) 이같은 결과가 지난주 런던에서 열린 유럽 심장학회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고 보도했다. 오젬픽과 위고비의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는 인슐린 분비 촉진과 식욕 억제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의 유사체로, 앞선 연구들에서 비만이나 과체중, 심장질환자의 사망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세마글루타이드가 관절염, 알츠하이머, 암, 코로나19 등 훨씬 더 광범위한 질병에 영향을 미쳐 사망률을 전반적으로 낮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할란 크럼홀츠 미국 예일의대 교수는 "세마글루타이드는 우리가 처음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광범위한 이점이 있었다"며 "단순히 심장마비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건강을 증진한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의 건강을 개선하면 실제로 노화 과정이 지연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연구는 미국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이면서 심혈관 질환이 있지만 당뇨병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