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관 닮은 음향 센서 개발…차량 종류까지 구별

고려대 연구팀 "시끄러운 곳에서 위험 감지·인공 와우 등에 활용"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한창수 교수·전은석 박사 연구팀이 사람의 달팽이관을 모사해 주파수 검출까지 가능한 인공 음향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달팽이관은 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소리의 진동(주파수)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나선형으로 감긴 달팽이관을 펼치면 내부 관을 따라 아주 얇은 세포 경계막인 기저막이 있는데, 폭이 넓고 얇은 기저부에서 시작해 꼭대기로 갈수록 폭이 좁고 두꺼워지는 기저막의 형상 덕분에 우리는 주파수 대역별로 나눠 다양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기저막처럼 방향에 따라 폭이 변하도록 인공 기저막 구조를 설계하고, 나선형 구조를 적용해 면적 대비 길이를 최대한 길게 만듦으로써 주파수 대역을 크게 확장했다.

 기저막과 청각신경을 모방해 24개의 압전 센서(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센서) 모듈을 부착, 24개의 독립적인 주파수 대역을 구현했다.

 이렇게 개발한 무전원 음향 센서를 사용해 실제 도로를 달리는 버스, 트럭, 오토바이 등 고속·고중량 차량의 주행음을 분석한 결과 소리만으로 차량의 종류를 구별해내는 데 성공했다.

 한창수 교수는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위험신호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조기 알림 시스템이나 인공 와우 등 청각 보조 장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지난달 17일 자에 실렸다.

달팽이관 닮은 음향 센서 개발한 고려대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내산 헤어드라이 전자파 1168mG(인체보호기준 833mG) 검출…"안전기준 넘어"
국내산 헤어드라이어 전원을 켜고 전자파 측정기를 가까이 대자 측정기 속 숫자가 1168mG(밀리가우스)까지 치솟았다. 중국산 헤어드라이어도 최대 922.3mG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체보호 기준 833mG를 넘어선 수치다. 시민단체 환경보건시민센터는 5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헤어드라이어, 휴대용 선풍기 등 전기전자제품의 전자파 측정 시연을 했다. 센터는 "과기정통부는 시중 유통 제품 중 833mG를 초과한 사례는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기정통부가 833mG를 안전 기준으로 내세운 데 대해서도 "엉터리 기준"이라고 비판했다. 센터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소아 백혈병 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로 내세운 4mG가 인체 보호 기준이 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날 시연에서 목에 거는 휴대용 선풍기와 노트북 어댑터에서는 최대 360.4mG, 440mG의 전자파가 각각 검출됐는데, 센터는 "4mG를 훨씬 넘어서는 수치이므로 위험하다"고 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적 측면에서만 접근할 뿐 국민의 건강이나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며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많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