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끼고 물놀이하면 안돼…"염증으로 각막 손상"

  여름철 물놀이를 할 때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 착용하시는 분 많으시죠.

 그런데 렌즈를 낀 채로 물에 들어가면 자칫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휴가철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착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계곡이나 강물에 들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눈에 염증을 일으키기 쉬운데요.

 또 수영장 물에 들어있는 염소를 비롯한 여러 화학물질이 콘택트렌즈에 묻으면 각막이 손상될 수 있죠.

 임동희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미생물들이 렌즈에 쉽게 달라붙어서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각막염이나 세균성 각막염, 아메바 각막염 같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콘택트렌즈 대신 도수가 있는 물안경을 쓰는 게 더 안전하다"고 말했습니다.

 가시아메바 각막염에 걸리면 시력 저하는 물론 심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한경은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는 "자연환경 어디에나 존재하는 가시아메바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 표면에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면서 "아주 심한 경우에는 안구를 적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굉장히 위험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물놀이할 때 부득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다면 물안경을 써서 물과의 접촉을 줄여주는 게 좋은데요.

 물놀이가 끝난 뒤에는 콘택트렌즈를 꼭 새것으로 교체해 줘야 합니다.

 눈이 가렵거나 충혈되고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렌즈를 빼고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임동희 교수는 "일회용 콘택트렌즈가 다회용보다는 감염 위험이 더 낮다"면서 "다회용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매일 렌즈를 세척하고 보존액을 교체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어 "감염성 각막염이 발생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