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6일)

[오늘의 증시일정](16일)
    ◇ 신규상장
    ▲ 유라클[088340]

    ◇ 추가 및 변경상장
    ▲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067630](BW행사 445주 8천662원)
    ▲ 씨엔티드림[286000](주식전환 19만1천979주 9천724원)
    ▲ 주식회사 파워넷[037030](유상증자 126만9천572주 2천363원)
    ▲ (주)네이처셀[007390](스톡옵션 20만주 6천136원)
    ▲ (주)케이엔제이[272110](스톡옵션 3만주 1만3천650원)
    ▲ 진양제약(주)[007370](CB전환 31만4천764주 5천242원)
    ▲ 오성첨단소재(주)[052420](CB전환 70만770주 1천427원)
    ▲ (주)이수앱지스[086890](CB전환 12만2천644주 5천900원)
    ▲ (주)라파스[214260](CB전환 2만2천562주 1만9천944원)
    ▲ 한국피아이엠(주)[448900](CB전환 40만4천486주 5천439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4일) 주요공시]
    ▲ 상반기 통신3사 CEO 보수 1위 SKT[030200] 유영상…작년 연봉 넘은 23억
    ▲ 상반기 금융지주·은행 CEO 보수는…유명순 21억·함영주 18억원
    ▲ 호텔롯데, 상반기 영업손실 526억원…적자 전환
    ▲ 김남구 한투 회장, 상반기 보수 26억…김성환 증권 사장 7억7천
    ▲ LG CNS, 2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영업익 1천377억
    ▲ 롯데관광개발[032350], 2분기 흑자전환…매출은 '사상 최대'
    ▲ 효성 조현준 상반기 보수 29억…'독립' 조현상 퇴직금포함 195억
    ▲ 현대카드, 상반기 순이익 1천638억원…4.2% 증가
    ▲ 롯데카드, 상반기 순이익 628억원…79.5% 급감
    ▲ 아시아나항공[020560] 2분기 312억원 영업손실…"고유가·고환율 영향"
    ▲ 이부진 호텔신라[008770] 사장, 상반기 보수 8억원 수령
    ▲ 시프트업[462870], '스텔라 블레이드' 성과에 2분기 영업익 49% 늘어
    ▲ 셀트리온제약[068760] 2분기 영업익 36% 감소…매출은 2분기 최대
    ▲ CJ올리브영 상반기 매출 2조3천억원 육박…'역대 최대'
    ▲ SK에코플랜트, 상반기 매출액 8.6%↑…영업이익은 28.7% 감소
    ▲ 한국씨티은행 2분기 순익 1천18억원…작년 동기보다 9.7%↑
    ▲ 빙그레[005180] 상반기 영업이익 660억원…작년 동기보다 12% 증가
    ▲ 서정진 셀트리온[068270] 회장, 올해 상반기 보수 8억1천만원
    ▲ 스마트레이더시스템[424960] "델타엑스 주식 20억원에 취득"
    ▲ 교촌에프앤비[339770], 2분기 매출 1천139억원…작년보다 12% 늘어
    ▲ 진양화학[051630], 120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 야놀자, 2분기 영업이익 160억원…흑자전환
    ▲ 티웨이항공[091810] 2분기 영업손실 220억원…"유럽취항 준비 영향"
    ▲ 다올투자증권[030210], 2분기 영업손실 389억원…"대손충당금 적립 영향"
    ▲ SC제일은행, 2분기 순이익 1천632억원…작년 동기의 2배
    ▲ 롯데손보, 상반기 순이익 663억원…41% 감소
    ▲ 풀무원[017810] 상반기 영업이익 325억원…역대 최대
    ▲ 엠게임[058630] 2분기 영업익 7억원…개발비 늘며 전년 대비 81% 급감
    ▲ 농심[004370] 상반기 영업이익 줄어…"주요제품 가격 인하 영향"
    ▲ 토스, 2분기 영업이익 28억원…사상 첫 흑자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2분기 영업이익 1조56억원…작년 대비 32.3%↑
    ▲ 메리츠증권 2분기 영업익 3천461억원…작년 동기 대비 70.1%↑
    ▲ 오뚜기[007310] 상반기 영업이익 1천348억원…작년 동기보다 4% 늘어
    ▲ 세아제강지주[003030] 2분기 영업이익 858억원…전년 대비 55.6% 감소
    ▲ 구속된 카카오[035720] 김범수, 올해 상반기 보수 7억5천만원
    ▲ LG전자[066570], 상반기 연구개발비 2.2조…전년 대비 13% 늘어
    ▲ 현대해상[001450], 상반기 순이익 8천330억원…작년 대비 67.6% 증가
    ▲ 삼양식품[003230] 상반기 영업이익 1천695억원…작년 연간 성과 넘어
    ▲ DB손보, 상반기 순이익 1조1천241억원…작년 대비 23.2% 증가
    ▲ 휴온스[243070]글로벌[084110] 2분기 영업익 304억원…작년 동기 대비 17% 감소
    ▲ 오리온[271560], 상반기 영업이익 2천468억원…역대 최대
    ▲ 루멘스[038060] "더웰스-클레어보이언트투자조합 주식 130억에 취득"
    ▲ 뷰노[338220] 2분기 31억 영업손실…매출은 64억으로 113% 증가
    ▲ 11번가, 2분기 영업손실 31% 축소…"내실다지기 효과"
    ▲ 삼성화재[000810]해상보험 2분기 영업이익 7천823억원…작년 대비 4.9%↑
    ▲ SK E&S, 상반기 영업익 6천500억…3년 연속 연간 1조원대 유력
    ▲ 한투증권 "하이트진로[000080], 가격인상·마케팅비 절감으로 수익 개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