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릉 의료기관서 집단 이상증상 발생해 관계당국 역학조사 중
"항생제 내성 없어도 치료 시기·환자 상태 따라 효과 떨어질 수도"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로 나뉜다.

 이번 강릉 환자들에게 검출된 것은 MSSA였다.

 항생제가 듣지 않아 치료가 까다로운 MRSA의 경우 제4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돼 표본감시 대상이지만, MSSA의 경우 감시 대상이 아니어서 현황 파악도 쉽지 않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황색포도알균은 자연환경이나 일상환경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지만 무균적으로 유지돼야 하는 피나 뇌척수액, 뼈나 근육 안쪽에 들어가면 병을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엄 교수는 "MRSA는 독성은 약한 반면 항생제 치료가 어렵고 MSSA는 빨리 발견하면 치료는 용이하지만, 독성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며 "MSSA라고 해도 빨리 발견을 못해 치료가 늦어졌을 경우, 고령 등으로 면역이 저하됐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치료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오염된 수술 도구 등으로 인한 의료 감염은 감소추세이긴 하지만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감시연보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환자실의 전체 의료관련 감염 발생률은 재원일수 1천 일당 2.7건, 수술 부위 감염 발생률은 수술 100건당 0.78건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