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먹이 삼킨 비단뱀, 심장 25% 커지고 신진대사 40배 빨라져"

 1년 동안이나 굶다가 갑자기 자기 몸무게보다 더 큰 먹이를 삼키기도 하는 비단뱀은 먹이 소화를 위해 심장이 대폭 커지고 심박수가 두 배 증가하면서 신진대사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CU Boulder) 레슬리 레인완드 교수팀은 22일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서 비단뱀이 거대한 먹이를 삼킨 후 소화를 위해 24시간 동안 심장이 25% 커지고 심박수가 두 배 증가하면서 신진대사 속도가 40배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놀라운 과정은 심장 조직이 딱딱해지는 심장섬유증을 비롯해 뱀이 강한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여러 질병의 새 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레인완드 교수는 "비단뱀은 야생에서 수개월 또는 1년간 먹지 않고 살 수 있고, 그러다가 자기 몸무게보다 더 큰 것을 삼켜서 소화하기도 한다"며 "비단뱀이 인간에게 해가 될 수 있는 것들로부터 심장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레인완드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비단뱀의 심장은 먹이를 먹은 뒤 일주일에서 10일 동안 훨씬 커지고 심박수가 두 배 증가하며, 혈류가 순환 지방으로 유백색으로 변하면서 심장 조직에 영양을 공급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인 이번 실험에서 28일간 금식한 비단뱀에게 체중의 25%에 해당하는 먹이를 먹인 뒤 먹이를 주지 않은 뱀과 비교했다.

 그 결과 먹이를 먹은 비단뱀의 심장은 24시간 동안 25% 정도 커지고 심장의 팽창과 수축을 돕는 특수한 근육 다발인 근섬유가 급격히 부드러워지면서 약 50% 더 큰 힘으로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양한 유전자들의 작용으로 신진대사 속도가 40배나 빨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2주 후 먹이가 다 소화되고 난 다음에도 심장은 먹이를 먹기 전보다 여전히 약간 더 크고 강한 상태를 유지됐으나 다른 모든 시스템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연구팀은 또 먹이를 먹은 비단뱀은 단식한 뱀과는 다르게 특정 유전자가 켜지거나 꺼지는 후성유전학적 차이를 보였다며 이런 변화가 먹이를 먹은 후 심장이 설탕 대신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더 정확히 밝혀내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레인완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비단뱀이 단 24시간 만에 자기 심장을 근본적으로 개조해 훨씬 부드럽고 훨씬 에너지 효율이 높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비단뱀의 이런 심장 메커니즘을 밝혀내면 심장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PNAS, Leslie A. Leinwand et al., 'Postprandial cardiac hypertrophy is sustained by mechanics, epigenetic, and metabolic reprogramming in pythons',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32272612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암검진 내시경 시술 자격 두고 내과·외과 '티격태격'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10개월째 이어지는 와중에 국가암검진에서 내시경을 시술하는 의사의 자격을 두고 내과와 외과 간의 의료계 '집안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국가암관리위원회 산하 암검진 전문위원회는 최근 내년도 국가암검진 평가를 앞두고 내시경 연수교육과 인증의사 자격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종전에 내과가 도맡았던 '내시경 인증의' 교육과 자격 부여를 외과와 가정의학과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되자 내과는 의료의 질 저하가 초래된다고 반발하고 외과는 전문성을 갖췄다고 정면 반박하면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현재 내시경 교육, 의사의 시술 경험 횟수로 인증의사 자격을 부여하는 권한은 내과 전문의가 중심이 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대한위대장내시경학회 두 곳이 가지고 있다. 외과와 가정의학과는 이미 현장에서 외과 전문의 등이 내시경 검사를 하고 있고, 학술대회에서도 교육이 이뤄지는 만큼 자격이 충분해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내과학회에서는 외과와 가정의학과에서 하는 내시경 검사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내과학회 등은 공동성명에서 "내시경 시술은 기본적으로 내과 전문의 수련 과정이 필수"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폭설에 노년층 낙상주의보…고관절 골절 방치시 2년내 70% 사망
27일 갑작스러운 폭설과 추위로 도로 곳곳이 얼어붙으면서 빙판길 낙상 사고 위험이 커졌다. 노년층은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고관절 골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고관절 골절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2년 내 70%가 사망한다는 보고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의료계에 따르면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는 근육이 움츠러들고 관절이 뻣뻣해지는 데다 두꺼운 외투를 껴입는 탓에 민첩성도 떨어져 낙상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노년층이나 폐경기 여성은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낮은 편이어서 가벼운 낙상도 골절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넘어지면서 주로 다치는 부위는 손목이나 발목이지만, 앉아 있다가 일어나거나 걷다가 옆으로 비스듬히 넘어지면서 골반과 다리를 연결해주는 고관절도 골절될 수 있다. 고관절 골절을 더 조심해야 하는 건 합병증 등으로 사망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고관절 골절 환자는 거동이 불편해져 오랜 기간 침상 생활을 해야 하고, 이 때문에 폐렴, 욕창은 물론이고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혈전 등이 생길 수도 있다. 고관절 골절 환자의 사망률은 수술 시 1년 내 14.7%, 2년 내 24.3%로 분석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사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역량 갖춘 바이오 인재 절실…기업·대학 협업해 양성해야"
우리나라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협력해 경력 개발 프로그램, 인턴십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까지 요구되는 바이오 분야 특성상 기업 등 단일 행위자의 노력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달 발행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인력양성 및 확보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는 우선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네이처 인덱스의 연구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리, 화학에서 각각 6위, 7위를 기록했으나 바이오 관련 분야인 생물은 14위에 그쳤다. 네이처 인덱스는 글로벌 출판 그룹 네이처가 주요 자연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작성 기여도,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산출해 수치로 변환한 지표다. 네이처는 한국의 논문 성과와 연구개발(R&D) 지출을 비교하면 다른 국가와 비교해 '투자 대비 성과'가 부족하다고도 평가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와 디지털 2개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에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