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수산물에 '대하·전어'…여행지는 '화성 전곡리마을'

해양생물은 '옥덩굴', 등대는 '울릉도등대'

 해양수산부는 9월 '이달의 수산물'로 대하와 전어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수산물로 아르기닌이 풍부해 근육 형성과 면역력 향상에 좋고 소금구이, 튀김, 찜, 회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가을철에 많이 잡히는 대하는 양식 흰다리새우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뿔이 코끝보다 길게 나오고 몸통보다 수염이 길다. 특히 꼬리가 초록빛을 띠는 특성이 있다.

 이달의 수산물인 대하와 전어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정보는 어식백세(https://blog.naver.com/korfish01)에서 확인할 수 있다.

 9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로는 경기도 화성시 전곡리마을과 경북 울진군 해빛뜰마을이 선정됐다.

 전곡리 어촌 체험 휴양 마을은 서해안 최대 규모의 요트 정박지(마리나)를 갖춘 곳으로, 푸른 바다와 하얀 요트가 조화를 이룬 풍경이 유명하다.

 다음 달 21일에는 '전곡항 망둥어 낚시 대회'가 개최된다. 갯벌 체험과 전곡항 해적선 타기 체험 등이 준비돼 있어 아이들과 방문하기 좋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망양해수욕장에 위치한 해빛뜰 어촌 체험 휴양 마을은 동해안의 맑은 바다와 소나무 군락이 어우러진 경관이 특징이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해빛뜰 펜션에서 동해를 감상할 수 있다. 펜션 옆 캠핑장에선 소나무 그늘에 텐트를 설치하고 휴식할 수 있다.

 이달의 어촌 여행지에 관한 자세한 관광 정보는 바다여행 누리집(www.seantou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이달의 해양생물'은 옥덩굴이다.

 옥덩굴은 암반에 붙어 자라며, 가지에서 알맹이 모양의 작은 가지가 돋아나 포도와 비슷한 형태를 띠는 해조류다.

 옥덩굴과 유사 종인 바다 포도는 일본, 베트남에서 식용으로 수입되고 있다. 한국의 옥덩굴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식재료라는 평가를 받는다.

 옥덩굴은 제주와 일부 동해안에서 서식하다가 최근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강원도까지 확대됐다.

해수부는 작년 4월 옥덩굴을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해 관찰 중이다.

 '이달의 등대'로는 경북 울릉군 울릉도등대가 선정됐다.

 1958년 설치된 울릉도등대는 25초 간격으로 하얀색 불빛을 깜빡이며 동해를 지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등대는 바람을 기다리는 언덕이란 뜻의 대풍감 절벽 위에 있다. 등대에서 학포 해변과 코끼리 모양의 바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울산 울주군 온산읍에 있는 목도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됐다.

 섬 모양이 사람의 눈처럼 생겨 목도(目島)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동백나무가 많아 동백섬으로 불리기도 하는 목도에는 후박나무,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소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협·비대면진료업체, '추석 연휴 진료' 의료공백 틈새홍보 나서
추석 연휴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의사단체와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가 '연휴 적극 진료·정상 운영'을 내세우며 의사들을 겨냥한 틈새 홍보에 나섰다. 대한의사협회는 회원에 "정부를 믿고 쉬시라", 국민에 "응급 진료를 이용하려면 대통령실로 연락하라"고 정부를 비꼬는 내용의 안내문을 배포한 바 있어 내부에서 "홍보가 서툴렀다"는 비판이 나온다. 12일 비대면진료 업체 '나만의닥터'는 "추석 연휴 기간 24시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배포했다. 나만의닥터 측은 "추석 연휴 기간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병원 진료와 약 처방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24시간 비대면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 점검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어 "소아과나 급성질환의 경우 의료공백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민들이 연휴에도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비대면진료만큼은 공백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전날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도 "진료 공백이 우려되는 추석 연휴를 맞아 전국 한의원 616곳과 한방병원 215곳 등이 진료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한의협은 "양의계의 진료 공백으로 어려움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마스크 여드름, 항생제 없이 서식하는 세균으로 막는다"
마스크 착용에 의해 생기는 여드름을 피부와 구강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류충민·서휘원 박사 연구팀이 마스크에 번식하는 다양한 세균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피부염증을 억제하는 세균과 물질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마스크 착용이 늘면서, 접촉성 피부염 등에 의한 '마스크네'(Maskne·마스크와 여드름의 합성어) 부작용도 증가하고 있다. 병원에서는 10분 정도만 사용해도 마스크가 세균에 오염되며, 일상생활에서 2시간가량 착용한 마스크에서는 피부 병원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지만 실제 마스크에서 오염균을 분리해 진행한 연구는 드물다. 연구팀은 마스크 오염 세균과 피부질환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20∼50대 남녀 40명의 마스크, 피부,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을 분석했다. 마스크에서는 200여종의 세균이 분리됐는데, 이 가운데 33.5%가 동물 피부에 농포, 결절과 같은 피부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장 높은 병원성을 보였다. 또 70% 이상이 피부에서 유래한 세균이었으며 구강 세균은 4%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피부와 입속에 공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