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생각·행동하는 인공지능' AGI 정부 차원 R&D 추진

정보통신기획평가원, AGI 개발 예타 신청 전 업계 사전조사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인간 지성에 근접한 인공지능(인공일반지능 또는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정부 차원의 AGI 기술 연구개발이 시도된다.

 인공지능(AI) 업계와 당국에 따르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최근 국내 AI 업체들을 대상으로 범용 인공지능(AGI) 개발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으로 신청하기 위한 기술 수요 및 참여 의향 조사에 착수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실제 환경(복잡계 환경)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사회성을 가지며 성장하는 AGI의 원천 기술 개발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또, 사람이 경험과 상호 작용을 통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하는 것처럼 스스로 학습하고 지능을 발달시켜가며 새로운 환경과 작업에 지속적으로 적응하는 능력도 중요시된다.

 사고뿐 아니라 행동 면에서도 인간을 닮아 실제 세계의 물리적인 상황과 특성을 이해하고 주변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한 뒤 행동으로 옮길 수 있어야 한다.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해야 한다는 점에서 AGI 개발에는 추론력 등의 AI 성능 뿐 아니라 실시간성, 에너지 효율성 등도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양적 성장 중심의 AI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될 것"이라며 "챗GPT 이전 GPT3 시절에는 주목받지 못하던 LLM 기술이 어느 순간 확산한 것처럼 그간 시도되지 않았던 영역에서 다양한 AI를 구현하는 알고리즘 등 차세대 기술을 찾아보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콩팥병 필수 재택치료 '복막투석'…"10년 내 사라질 위기"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환자 중심의 재택 치료가 주목받고 있지만 말기콩팥병 환자가 병원 대신 집에서 받을 수 있는 '복막투석'은 외면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는 4월 28일부터 5월 18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천184명(일반인 768명, 환자 및 보호자 416명)을 대상으로 말기콩팥병과 투석 치료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날 의기협과 대한신장학회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공동 개최한 '급증하는 말기콩팥병, 지속 가능한 치료의 길-재택 복막투석 활성화 정책 방안'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만성콩팥병은 콩팥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손상된 경우로, 병세가 진행되면 암보다도 더 큰 진료비를 부담하는 말기콩팥병에 이르게 된다. 말기콩팥병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투석은 집에서 할 수 있는 복막투석과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혈액투석으로 나뉜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2010년 5만8천여명 수준이던 말기콩팥병 환자 수는 2023년 약 13만7천명으로 13년 만에 2.3배 증가했다. 하지만 혈액투석 대비 의료비용이 적은 복막투석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