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비대면진료업체, '추석 연휴 진료' 의료공백 틈새홍보 나서

의협, 회원엔 "연휴에 쉬시길", 국민엔 "응급하면 대통령실에 연락하라" 비꼬아
"홍보 서툴렀다, 한의협 의료공백 틈타 노이즈마케팅" 의협 내부서 비판

 추석 연휴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의사단체와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가 '연휴 적극 진료·정상 운영'을 내세우며 의사들을 겨냥한 틈새 홍보에 나섰다.

 대한의사협회는 회원에 "정부를 믿고 쉬시라", 국민에 "응급 진료를 이용하려면 대통령실로 연락하라"고 정부를 비꼬는 내용의 안내문을 배포한 바 있어 내부에서 "홍보가 서툴렀다"는 비판이 나온다.

 12일 비대면진료 업체 '나만의닥터'는 "추석 연휴 기간 24시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배포했다.

 이에 앞서 전날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도 "진료 공백이 우려되는 추석 연휴를 맞아 전국 한의원 616곳과 한방병원 215곳 등이 진료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한의협은 "양의계의 진료 공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응급실의 부담을 덜고 긴박한 환자들이 우선적으로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나서게 됐다"며 "대한민국 3만 한의사들은 연휴 이후로도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협조할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틈새 홍보'에 정부와 의정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의사협회(의협)에서는 "한의협이 노이즈마케팅을 하고 있다"는 반발과 동시에 "의협이 홍보에 서툴렀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협은 지난 2일 의사 회원과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24년 추석 연휴 진료 안내문'을 공개했다.

이 공지에서 의협은 회원들에게 "의료 현장이 문제 없다는 대통령과 정부를 믿고 건강과 가정의 안녕을 우선하시라"며 "의사가 연휴에 쉬어야 환자를 더욱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또 "국민 여러분 중 추석 기간 응급 진료를 이용하시려는 분은 정부 기관 또는 대통령실로 연락하라"고 비꼬았다.

 이에 한 의협 핵심 관계자는 "부당 노동을 강요 말라는 취지지만, 내부에서도 (문구에 대해) 지나치다는 비판이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집행부의 홍보가 서툴렀고 세련되지 못했던 것 같아 아쉽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도 "한의협이 의료 공백이라는 어려운 상황을 틈타 자기들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노이즈마케팅'을 하고 있다"며 "대응할 가치도 없으며 한의사들과 우리는 진료 분야가 전혀 달라서 거기서는 (진료를) 볼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비판했다.

 비대면진료에 대해서는 "정부가 법적 근거도 없는 비대면진료를 이렇게 왜곡되고 비정상정인 의료 환경에서 전면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허용되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 지난 2월에 비대면진료 규제를 임시로 전면 철폐했고, 비대면진료 이용 건수는 이후 급증했다.

 의협은 이에 대해 "의료 정상화를 포기하고 편법으로 국민을 호도하는 무책임의 극치"라며 "철저한 안전성·유효성 검증을 통해 (비대면 진료) 제도화 여부를 원점에서 재논의하자"고 반발했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약값 내려라" 트럼프 압박에…미국서 오젬픽 값 절반으로 인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약값 인하를 추진하는 가운데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일부 환자들에 대해 당뇨·비만 치료제 오젬픽의 가격을 절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노보노디스크가 지난 18일(현지시간) 건강보험이 없는 미국 환자들에게 판매하는 한 달 치 분량 오젬픽의 가격을 기존의 약 1천달러에서 499달러(약 69만원)로 인하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소비자들은 오젬픽 공식 홈페이지나 이 회사의 직거래 온라인 약국인 '노보케어' 등에서 현금으로 할인가에 이 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특히 노보케어는 처음으로 오젬픽의 가정 배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의약품의 소비자 직접 판매는 백악관이 우선 과제로 추진해온 사안이기도 하다. 주 1회 맞는 주사제인 오젬픽은 노보노디스크의 대히트작으로, 당뇨 치료가 주목적이지만 체중 감량 효과도 있다. 미국에선 최근 몇 년간 이 약품의 부족 사태가 벌어지며 똑같은 유효성분을 이용해 만든 복제약 이 불티나게 팔렸고 이에 따라 안전성 우려가 일기도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다만 이번 할인으로 혜택을 보게 될 환자는 소수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다. 노보노디스크는 오젬픽 이용자의 98%가 건강보험을 통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