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에 특히 조심해야하는 식중독…"손씻기 중요"

 올여름 무더위가 길게 이어지면서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추석을 앞둔 9월에도 더운 날씨가 이어져 주의가 필요한데요.

 즐거운 명절, 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살모넬라균, 병원성대장균인데요.

 특히 살모넬라 식중독은 한여름보다 9월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실생활에서는 주로 달걀이나 덜 익은 닭고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살모넬라 식중독과 함께 7~9월에 많이 발생하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육류나 채소류를 가열해 조리하지 않고 먹을 때 걸리기 쉽죠.

 그런데 음식이 상하기 쉬운 한여름보다 날씨가 선선해진 9월에 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할까요?

 박민선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9월에도 한낮에는 여전히 기온과 습도가 높지만, 아침저녁으로 선선해지기 때문에 식중독에 대한 경계심이 약해져서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식중독에 걸리면 일반적으로 구토,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고 몸에 열이 나기도 하는데요.

 신경마비나 근육 경련 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김경오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식중독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탈수 증상으로 인해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설사 증상이 있다고 함부로 설사약을 복용하면 안 된다고 하는데요.

 김경오 교수는 "억지로 설사를 멎게 하면 몸속에 있던 독소 배출이 지연돼 증상이 일시적으로 심해질 수 있다"면서 "지사제는 가급적 조심해서 사용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음식은 섭씨 7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 조리한 후 먹는 게 좋습니다.

 또 달걀을 만진 뒤에는 반드시 세정제로 손을 씻어야 합니다.

 익히지 않고 먹는 채소와 과일은 베이킹소다나 식초를 푼 물에 5분 정도 담가뒀다가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해 먹는 게 안전합니다.

 박민선 교수는 "음식을 조리할 때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는 게 가장 중요하고 조리하는 음식도 손 씻는 장소에서 조금 떨어진 곳으로 옮겨놓는 게 좋다"면서 "특히 추석에는 과식을 하거나 술을 마신 뒤 설사 같은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과식과 음주를 자제하고 식중독으로 응급실에 가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119가 이송병원 선정하게 법 바꿔야"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에 '환자 이송 허락'을 받는 관행을 없애고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바꿔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쟁점과 실효성 확보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응급실 뺑뺑이는 119 구급대가 이송하는 환자를 응급실에서 받기 어려워 다른 병원으로 다시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상황을 뜻한다. 보고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실체는 119가 여러 의료기관에 전화를 걸어 이송할 곳을 찾는, 사실상 '전화 뺑뺑이'"라며 "응급의료기관의 수용능력 확인 절차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사전 허락을 받는 절차가 돼 버렸다"고 짚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됐고 보건복지부는 개정 후속 조치로 지난해 4월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 지침을 배포했다. 지침은 응급의료기관이 병상 포화, 진단 장비 사용 불가, 모니터링 장비 부족, 중증응급환자 포화 등으로 1회에 한해 2시간까지만 수용 곤란 고지를 할 수 있도록 제한했지만 응급실 재이송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