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사설](27일 조간)

▲ 경향신문 = 한덕수 '징역 15년' 구형, 내란재판 첫 기준 바로 세우길

김건희 대통령놀이 도운 '박성재 법무농단' 엄벌하라

첫 발 뗀 석화업계 재편… 제조업 구조조정 계기 돼야

산재 증가하니 감독 책임 어물쩍 지자체로 넘기려 하나

▲ 동아일보 = 石化 구조조정 첫발… 기업은 더 서둘고, 정부는 전폭 지원을

與, 필버 제한 추진… 小野 '최후 저항수단'마저 무력화하나

"내 수사는?" "김혜경-김정숙은 왜 느리냐" … 법무 채근한 김건희

▲ 서울신문 = 장동혁 대표, 멀어지는 중도 민심 못 보는가 안 보는가

기어이 '반도체 주 52시간' 족쇄 채우려는 여야

감사원 운영쇄신 TF, '정치보복 감사' 우려 새겨야

▲ 세계일보 = '내란 방조 혐의' 한덕수 국민 앞에 반성·사죄하라

반복되는 前 정권 감사 뒤집기, 중립성 누가 믿겠나

일하는 노인 OECD 평균 3배… 임금 구조개편 서둘러야

▲ 아시아투데이 =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 위법여부 누가 판단하나

서울 1305가구 공공 공급으론 집값 못 잡는다

▲ 조선일보 = 권력 뜻 법관 인사, 내란 전담 재판부 모두 헌법 위반

대통령 사건 관련 잇단 지시와 조치, 매우 부적절하다

'52 시간제 예외' 뺀 반도체법, 이대로 통과 안 돼

▲ 중앙일보 = '환율 방어 동원' 부인에도 불안한 국민연금 독립성

'위법한 명령 거부', 군의 본질 흔드는 일은 없어야

▲ 한겨레 = 끝까지 거짓말하는 한덕수, 역사의 심판 내려야

법무장관에게 전화해 자기수사 '지휘'한 V0 김건희

인권위원장 사퇴 요구 각계 확산, 안창호 물러나라

▲ 한국일보 = 거듭되는 전 정부 감사 뒤집기… 감사원에 냉소적인 이유다

처·차장 동시 기소 공수처… 굴욕 계속되는 근본 원인 살펴야

자사주 소각 의무화, 경영권 방어 대안 입법과 함께 가길

▲ 글로벌이코노믹 = 내년 한국경제 최대 관건은 재정관리

대립에서 관리 모드로 전환한 미·중

▲ 대한경제 = 부총리 구두 경고는 일시적… 외환보유 증액이 근본 해결책

내년 서울 공공분양 1300호, 수요자 욕구 충족할 수 있겠나

▲ 디지털타임스 = 세계는 AI 위해 원전 늘리는데 우린 아직도 태양광 타령인가

법관 희화화한 김용현 변호인들… 법정모독죄 엄히 물어야

▲ 매일경제 = 與 "외부인이 법관 인사"…사법부에 정치가 개입하려는 것

대산 석화단지 첫 구조조정 합의…남은 단지도 신속 추진을

이번엔 자사주 소각 의무화…경영권 불안은 안중에 없나

▲ 브릿지경제 = 환율 안정화, 단기 대응-구조 개혁 여부에 달렸다

▲ 서울경제 = 반도체학과 지원 급증, '반짝' 인기 그치지 않으려면

네이버, 두나무 인수…'스테이블코인 규율안' 마련해야

석화 구조조정 관건은 속도, '골든 타임' 놓치면 안 된다

▲ 이데일리 = 미·중 해빙 무드… 예측불허 국제정세 속 긴장 끈 조여야

정년연장, 임금·연금개혁과 병행… IMF 고언 일리 있다

▲ 이투데이 = 선진 한국의 어두운 그림자 '산업재해'

▲ 전자신문 = 네이버·두나무, 한나무로 세계로

▲ 파이낸셜뉴스 = 석화 구조조정 1호 탄생, 산업 재도약 신호탄 되길

혈세로 해외관광하는 의원들 나쁜 관행 근절해야

▲ 한국경제 = 외부 인사 주도 사법행정위, 사법의 정치화 우려스럽다

'세금 폭탄'에 막힌 외국계의 기업형 임대주택 투자

롯데·HD현대가 물꼬 튼 구조조정, 제조업 전체로 확산돼야

▲ 경북신문 = 초저비용 전기 공급… 세계 5위 원자력 강국

▲ 경북일보 = 세계경주포럼·CEO 서밋, 정부가 지원해야

TK 산재 사망 급증…안전 예방 정책 강화를

▲ 대경일보 = ESG 책임경영에 대한 관심

경주 역세권 개발, 조화와 공존 전략 필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공공의료 재건 위한 시대적 과제"
보건·시민·노동단체들이 국립대병원의 소관부처 이관은 "지역·공공의료 재건을 위한 시대적 과제"라며 정부와 국회를 향해 일제히 조속한 입법과 추진을 촉구했다. 양대 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의료연대본부, 참여연대, 보건의료단체연합,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등이 속한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지난 25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추진 중인 국립대병원의 보건복지부 이관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회대개혁 과제"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립대병원을 지역 거점병원으로 육성해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 국립대병원 소관부처를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옮기기로 하고, 국립대학병원설치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이관을 앞두고 복지부와 교육부, 국립대병원장들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데, 국립대병원장들은 교육·연구역량 위축 우려 등을 들어 이관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수십 년간 국립대병원은 교육부 산하에 있으면서 '공공병원'으로서의 정체성보다 몸집 불리기와 수익성 추구에 내몰려왔다"며 "관리·감독 사각지대에서 국립대병원은 민간 대형병원과 다를 바 없는 무한 경쟁에 뛰어들었고, 그 결과 공공성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